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09

[종류] 바롤로(Barolo)

1. 바롤로 개요 바롤로(Barolo)는 이탈리아 동북부에 있는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 마을에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DOC 규정에는 포도밭이 산허리에 있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개정된 2010년 생산 규정에는 계곡 바닥과 습기 찬 평지, 일조량이 충분하지 않은 곳, 완전히 북쪽을 향한 곳의 포도밭을 제외한 다른 밭에서도 바롤로 와인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바롤로 와인은 포도 수확부터 발효, 오크통 숙성과 병 숙성까지 적어도 38개월 이상 걸려야 ..

[이탈리아] 끼안티 끌라시코 지역을 표현하는 새로운 길 - Principe Corsini Vino Spumante Rosato NV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비노 스푸만테 로사토(Vino Spumante Rosato) NV는 이탈리아의 토스카나(Toscana)주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이 와인을 만든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죠. 1100년대 말엽에 토스카나의 포지본시(Poggibonsi)에서 시작한 코르시니 가문의 역사는 매우 화려합니다..

[프랑스] 덜 익은 복숭아와 연한 식물 줄기의 느낌 - Chateau Pradeaux Rose 2011

샤토 프라도 로제(Château Pradeaux Rose) 2011은 프랑스 남부의 프로방스(Provence)에 있는 A.O.C 방돌(Bandol)에서 수확한 무르베드르(Mourvedre) 70%에 생쏘(Cinsault) 30%를 섞어서 만든 A.O.C 등급의 로제 와인입니다. 1. 샤토 프라도(Château Pradeaux) 샤토 프라도는 무르베드르 포도로 만드는 레드 와인이 유명한 프로방스의 방돌 지역에 있는 와이너리입니다. 무르베드르에 대한 열정과 도전 정신으로 방돌에서 최고의 와인을 만들어 온 샤토 프라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무르베드르의 제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죠. 샤토 프라도의 레드 와인은 방돌 와인을 세계에 알리는 대표적인 와인으로 손꼽힙니다. 대를 이어 발전하고 있는 샤토 프..

[프랑스] 다양한 과일, 나무, 고수, 그리고 쇠와 피 - Chateau Pradeaux Rouge 2007

샤토 프라도(Château Pradeaux Rouge) 2007은 프랑스 남부의 프로방스(Provence)에 있는 A.O.C 방돌(Bandol)에서 수확한 무르베드르(Mourvedre) 95%에 그르나슈(Grenache) 5%를 섞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샤토 프라도 샤토 프라도는 프로방스 지방의 방돌에 있는 와이너리입니다. 방돌은 무르베드로 포도로 만드는 레드 와인이 유명하죠. 샤토 프라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무르베드르의 제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샤토 프라도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샤토 프라도에서는 AOC 방돌인 샤토 프라도와 함께 꼬뜨 드 프로방스(Côtes de Provence)와 뱅 드 빼이 뒤 몽 콤(Vin de P..

[프랑스] 쏟아질 듯 밀려오는 다양한 풍미 - Chateau Valandraud 2006

샤토 발랑드로(Château Valandraud) 2015는 프랑스 보르도의 A.O.C 쌩-테밀리옹(Saint-Émilion)에서 재배한 메를로(Merlot) 65%에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5%와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 말벡(Malbec) 4%, 까르메네르(Carmenere) 1%를 블렌딩 해서 만든 A.O.C 쌩-테밀리옹 그랑 크뤼(Saint-Émilion Grand Cru)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샤토 발랑드로 샤토 발랑드로는 전통적인 보르도 와인보다 모던 와인(Mordern Wine)에 가까운 맛과 향을 보여주는 가라지 와인(Garage Wine)의 실질적인 리더인 장 뤽 튀느뱅(Jean-Luc Thunevin)이 만드는 와인입니다...

[프랑스] 주목할 만한 세컨드 와인 - Carruades de Lafite 2009

까뤼아드 드 라피트(Carruades de Lafite) 2009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오-메독(Haut-Médoc)에 있는 A.O.C 뽀이약(Pauliiac)에서 수확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1%에 메를로(Merlot) 42%와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5%,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2%를 섞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샤토 라피트 로칠드(Château Lafite Rothschild) 샤토 라피트 로칠드는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1등급 와인입니다. 라피트(Lafite)라는 이름은 샤토의 예전 소유주였던 라..

[프랑스] 묵직하고 굳건한 구조를 갖춘 "라투르 요새" - Les Forts de Latour 2009

레 포르 드 라투르(Les Forts de Latour) 2009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오-메독(Haut-Medoc)에 있는 A.O.C 뽀이약(Pauliiac)에서 수확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61.5%에 메를로(Merlot) 32.3%와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6.2%를 블렌딩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샤토 라투르(Château Latour) 샤토 라투르는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1등급 와인입니다. 뽀이약 마을의 남동쪽 끝에 있으며 쌩-줄리앙(Saint-Julien) 마을의 경계와 붙어있죠. 지롱드(Gironde)강의 강둑에..

[프랑스] 앞으로 무르익을 탄닌과 함께 발전할 - Le Clarence de Haut-Brion 2009

르 클라랑스 드 오 브리옹(Le Clarence de Haut-Brion) 2009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A.O.C 페싹-레오냥(Pessac-Léognan)에서 수확한 메를로(Merlot) 46%에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39%, 쁘띠 베르도(Petit Verdot)와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15%를 넣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샤토 오-브리옹(Château Haut-Brion) 샤토 오-브리옹은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1등급 와인입니다. 다른 레드 그랑 크뤼 와인들이 모두 오-메독(Haut-Medoc)의 와인이지만, 샤토..

[수다] 로제 스파클링 와인, 그 관대함을 찬양하라!

1. 와인과 음식의 조화와인을 마실 때 항상 와인과 음식의 조화를 생각합니다. 와인과 음식의 궁합을 뜻하는 "마리아쥬(Mariage)"라는 전문용어가 있을 만큼 와인과 음식의 조화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조화가 잘 맞았으면 평범한 와인에 평범한 음식이라도 황홀한 맛을 느낄 수 있지만, 조화가 안 맞으면 아무리 좋은 와인과 좋은 음식이래도 지옥 같은 경험을 하게 되거든요. 의심스럽다면 지금 당장 광어회를 떠서 보르도 그랑 크뤼 와인이나 칠레의 값비싼 레드 와인과 함께 먹어보세요. 제가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 대번에 느낄 수 있을 겁니다.그런데 와인과 음식의 조화는 와인을 좋아하고 공부하는 사람에겐 즐거운 일이지만, 단지 맛있게 한 끼 식사를 하려는 사람에겐 골치 아픈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프랑스] 정말로 산속의 장미 - Chateau Montrose 2007

샤토 몽로즈(Château Montrose) 2007은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오-메독(Haut-Médoc)에 있는 A.O.C 쌩-테스테프(Saint-Estephe)에서 수확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64%에 메를로(Merlot) 30%와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5%,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1%를 혼합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이면서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2등급에 속한 그랑 크뤼(Grand Cru)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보르도 쌩-테스테프 마을의 샤토 몽로즈는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 분류에서 당당히 2등..

[프랑스] 아직 마시기 일러도 멋진 모습을 보여준 - Pavillon Rouge du Chateau Margaux 2009

빠삐용 루즈 뒤 샤토 마고(Pavillon Rouge du Château Margaux) 2009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오-메독(Haut-Médoc)에 있는 A.O.C 마고(Margaux)에서 재배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포도 67%에 메를로(Merlot) 포도 29%, 쁘띠 베르도 포도(Petit Verdot) 4%를 섞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고풍스럽게 "라 모테 드 마고(La Mothe de Margaux)"라고도 부르는 샤토 마고(Château Margaux)는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1등급 와인입니다. 보르도의 유명 ..

[종류] 로제 와인 - 로제 와인을 만드는 네 가지 방법

1. 로제 와인용 포도 색은 레드 와인을 따라가지만, 성질은 화이트 와인에 가깝고, 향은 중간쯤 되는 로제 와인. 로제 와인을 만드는 포도가 따로 있진 않습니다. 피노 그리(Pinot Gris)처럼 분홍색을 띠는 포도도 있지만, 로제 와인은 레드 와인을 만들 때 쓰는 흑포도를 주로 사용하며, 색소가 없는 청포도는 거의 쓰지 않죠. 로제 와인에 사용하는 포도는 생산지마다 각기 다르며, 되도록 껍질이 얇아서 색소와 탄닌이 적게 들어간 흑포도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보르도처럼 탄닌과 색소가 많은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을 쓰는 곳도 있죠. 로제 와인으로 유명한 와인 생산지와 로제 와인에 주로 사용하는 포도 품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랑스 루아르 밸리(Loire Valley) : ..

[프랑스] 샤토 무통 로칠드의 만랩(滿 level) 작은 양 - Le Petit Mouton de Mouton Rothschild 2009

르 쁘띠 무통 드 무통 로칠드(Le Petit Mouton de Mouton Rothschild) 2009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오-메독(Haut-Mêdoc)에 있는 A.O.C 뽀이약(Pauillac)에서 재배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포도 94%에 메를로(Merlot) 포도 6%를 넣어서 만든 A.O.C 등급 와인이면서 1855년 보르도 와인 공식 등급(Bordeaux Wine Official Classification of 1855)의 1등급 와인인 샤토 무통로칠드(Château Mouton Rothschild)의 세컨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샤토 무통 로칠드는 프랑스 보르도 오-메독 지역의 뽀이약 마을에 있는 포도원입니다. 원래 이름은 샤토 브란-..

[프랑스] 남다른 압착과 숙성 과정으로 탄생한 - Champagne Krug 1998

크룩(Krug) 1998은 프랑스의 A.O.C 샹파뉴(Champagne)에서 재배한 샤르도네(Chardonnay) 포도 45%에 피노 누아(Pinot Noirs) 35%와 피노 므니에(Pinot Meuniers) 19%를 넣어서 만든 샴페인입니다. 1. 크룩 샴페인의 특별한 비결 1843년에 설립한 크룩은 샴페인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하우스입니다. 크룩 샴페인은 여느 샴페인보다 묵직하고 우아하며, 풍성하고 강인한 모습을 보여주죠. 크룩의 품질과 독특한 풍미를 이해할 수 있는 비결로 다른 샴페인 하우스보다 훨씬 정선(精選)된 압착 과정과 독특한 숙성 과정을 들 수 있습니다. 샴페인을 만들 때 첫 단계는 압착입니다. 압착기로 수확한 포도를 눌러서 주스를 얻죠. 포도를 압착해서 얻는 포도즙이 100ℓ..

[이탈리아] 상인, 성직자, 금융가, 정치인의 가문 -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

1. 코르시니 가문의 역사 "내일을 믿고 열심히 일하고, 시장이 기업을 요구할 때 위험을 감수하십시오." 코르시니 가문(Corsini Family)의 역사는 1100년대 말엽에 토스카나(Toscana)의 포지본시(Poggibonsi)에서 시작합니다. 그들은 처음엔 상인으로, 다음엔 성직자와 금융업자로 활동했고, 나중엔 영향력 있는 정치인들이었죠. 1373년에 피에솔레(Fiesole)의 주교가 된 안드레아 코르시니(1302~1374)는 사후 3세기 동안 교회의 존경을 받았고, 1624년에 산탄드레아(Sant’Andrea)라는 이름으로 성인에 추증되었습니다. 반면 피에트로 코르시니(Pietro Corsini)는 아비뇽 유수 때 우르바노 5세(Urbano V) 추기경을 따르며 로마 교황의 복귀를 지지했죠. 1..

와인/와이너리 2018.12.17

[프랑스] 세계 50대 컬트 와인 중 하나 - Chateau Valandraud 2007

샤토 발랑드로(Château Valandraud) 2007은 프랑스 보르도의 A.O.C 쌩-테밀리옹(Saint-Émilion)에서 재배한 메를로(Merlot) 포도 65%에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5%,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 말벡(Malbec) 4%, 까르메네르(Carmenere) 1%를 블렌딩해서 만든 쌩-테밀리옹 그랑 크뤼(Saint-Émilion Grand Cru) 와인이면서 가라지 와인(Garage Wine)입니다. 1. 샤토 발랑드로 샤토 발랑드로는 전통적인 보르도 와인보다 모던 와인(Mordern Wine)에 가까운 맛과 향을 보여주는 가라지 와인의 실질적인 리더인 장 뤽 튀느뱅(Jean-Luc Thunevin)이 만드는 와인입니다. ..

[프랑스] 보관의 문제? 단순한 풍미가 아쉬웠던 - Domaine Leflaive Chevalier-Montrachet Grand Cru 2007

도멘 르플레브(Domaine Leflaive)의 슈발리에-몽라셰 그랑 크뤼(Chevalier-Montrachet Grand Cru) 2007은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의 꼬뜨 드 본(Côte de Beaune)에 있는 슈발리에-몽라셰(Chevalier-Montrachet) 그랑 크뤼 포도밭에서 재배한 샤르도네(Chardonnay) 포도로 만든 그랑 크뤼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도멘 르플레브 도멘 르플레브의 초기 모습은 1717년에 퓔리니-몽라쉐에 살았던 끌로드 르플레브(Claude Leflaive)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의 도멘은 조세프 르플레브(1870-1953)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퓔리니 몽라쉐가 고향이었던 조세프의 초기 경력은 와인이 아니라 기술자였습니다. 그는 쌩-에띠..

[프랑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무흐베드르의 제왕” - 샤토 프라도(Chateau Pradeaux)

1. 샤토 프라도 샤토 프라도(Chateau Pradeaux)는 프로방스(Provence)의 방돌(Bandol)에 있는 와이너리입니다. 방돌은 무흐베드로(Mourvedre) 포도로 만드는 레드 와인이 유명하죠. 샤토 프라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무흐베드르의 제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샤토 프라도의 역사 1752년에 훗날 나폴레옹 왕국의 장관을 역임하고 프랑스 민법전(民法典, civil code)의 편찬위원으로 활약하는 장 마리 에티엔 포르탈리스(Jean-Marie-Etienne Portalis)는 현재 샤토 프라도가 있는 포도원을 구매했고, 그의 가문은 이를 관리했습니다. 1789년 프랑스 혁명 때 도멘은 많이 부서지고 황폐해졌습니다. 포르탈리스 가문은 대를 이어 복구했지만, 1..

와인/와이너리 2018.12.16

[프랑스] 산미, 탄닌, 알코올의 우아하고 아름다운 조화 - Domaine Emmanuel Rouget Cros Parantoux Vosne-Romanee 1er Cru 2002

도멘 엠마뉴엘 후제(Domaine Emmanuel Rouget)의 크로 파랑투 본-로마네 프르미에 크뤼(Cros Parantoux Vosne-Romanee 1er Cru) 2002는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의 꼬뜨 드 뉘(Côte de Nuit)에 있는 A.O.C 본-로마네(Vosne-Romanée)의 크로 파랑투 포도밭에서 재배한 피노 누아(Pinot Noir) 포도로 만든 부르고뉴 1등급(Premier Cru) 와인입니다. 1. 앙리 자이에(Henri Jayer)와 엠마뉴엘 후제 1922년에 부르고뉴의 본 로마네에서 태어난 앙리 자이에는 부르고뉴 와인에 혁신의 바람을 가져온 인물입니다. 풍부하고 집중력 있는 맛과 향뿐만 아니라 균형과 우아함도 함께 추구하는 그의 와인 양조법은 특히 부르고뉴..

[프랑스] 원래는 하나였지만, 이제는 따로 일어선 - Domaine de Cambes 2005

도멘 드 깜브(Domaine de Cambes)는 프랑스의 A.O.C 보르도(Bordeaux)에서 재배한 메를로(Merlot) 포도를 중심으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과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포도를 섞어서 만든 A.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도멘 드 깜브 도멘 드 깜브는 샤토 록 드 깜브(Chateau Roc de Cambrs)의 주인인 프랑소아 미트자비에(Francois Mitjavile)가 만듭니다. 도멘 드 깜브는 원래 샤토 록 드 깜브에 속해 있었습니다. 도르도뉴(Dordogne)강의 양쪽에 있었던 샤토 록 드 깜브의 포도밭 중 A.O.C 꼬뜨 드 부르(Cotes-de-Bourg)에 속하지 않은 쪽이 도멘 드 깜브인 것이고, 나중에 아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