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와인 생산지 110

[포르투갈] 북부 포르투갈(Northern Portugal) > 비뉴 베르데(Vinho Verde) DOC

‘녹색 와인(Green Wine)’이라는 뜻의 비뉴 베르데는 포르투갈 최북단의 비뉴 베르데(Vinho Verde) DOC에서 나오는 특색 있는 와인으로 알코올 도수가 낮고 신맛이 뚜렷하며 품종과 스타일에서 지방색이 선명합니다. 화이트 와인의 색은 거의 물처럼 투명하고, 레드 와인은 붉습니다. 그런데도 녹색 와인이라 부르는 것은 색깔의 문제가 아니라 무르익지 않은 신선한 와인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숙성한 와인은 '마두로(maduro)’라고 합니다. 1. 비뉴 베르데의 역사 비뉴 베르데 DOC에 속한 지방의 포도 재배와 와인 역사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고대 로마의 루시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Seneca the Younger)와 대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는 도우루(Douro)와 미뉴 ..

[스페인] 어퍼 에브로(Upper Ebro) > 리오하(Rioja)

리오하(Rioja)는 스페인의 와인 관련 법령인 DOP에서 상위 지역인 DOCa(Denominación de Origen Calificada, 자격을 갖춘 원산지 지정)로 분류된 와인 생산지입니다. 레이블에 “Rioja Denominación de Origen Calificada” 표시를 붙일 수 있는 와인은 라 리오하(La Rioja)와 나바라(Navarra)의 자치 공동체와 알라바(Álava)의 바스크(Basque) 지방에서 재배한 포도로 만들어야 합니다. 1. 리오하 와인의 역사 리오하 와인의 역사는 별도의 포스트로 작성했습니다. 아래의 글을 참조해 주세요. [역사] 스페인을 대표하는 리오하 와인의 역사 리오하(Rioja)는 스페인의 와인 관련 법령인 DOP에서 상위 지역인 DOCa(Denomina..

[아르헨티나] 멘도사(Mendosa)

아르헨티나 서부의 멘도사(Mendoza) 주는 아르헨티나 최고(最古)의 와인 생산지입니다. 지방 수도인 멘도사(Mendoza) 시에는 아르헨티나의 유명한 와인 생산자들이 대부분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도시에서 사방으로 뻗은 대로 양쪽에는 포도밭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안데스 산맥의 동쪽 산기슭에 있는 포도밭의 평균 고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아서 보통 해발 600~1,100미터 사이입니다. 아르헨티나 와인 생산량의 3분의 2 가량이 멘도사 주에서 나오며, 주요 와인 생산지는 마이푸(Maipú)와 루한(Luján)입니다. 1. 멘도사 주의 역사 역사적으로는 꾸요(Cuyo)로 알려진 멘도사 지역은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전례가 없었던 와인 붐을 타고 라틴 아메리카 최초의 와인 생산지이자 당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불가리아] 불가리아(Bulgaria) 와인 개괄

1. 불가리아 와인의 역사 고대시대에 트라키아(Thracia)로 알려졌던 불가리아의 와인 역사는 6,000년이나 됩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트라키아 와인은 풍부한 맛과 놀라운 색상, 기억에 남는 향기로 사람들을 매료시켜왔습니다. 고대 트라키아인은 중동에서 포도 나무를 가져와서 트라키아 저지대에서 재배했습니다. 저지대의 유리한 기후 덕분에 현재 이곳에서 독점적으로 재배하는 마브러드(Mavrud) 포도가 탄생했습니다. 그리스에서 와인의 신으로 숭배되었던 디오니소스는 트라키아에서도 포도주의 신으로 숭상 받았습니다. 사람들은 신성한 빨간색 음료에 몸과 영혼을 치유하는 마법적인 속성이 있어서 영혼을 고양시키고 마법을 일으킨다고 믿었죠. 신성한 술을 마시는 의식은 특별히 만든 암포라에서 양조된 와인으로 진행되었습니..

[스페인] 까딸루냐(Catalunya) > 뻬네데스(Penedès)

뻬네데스는 스페인 북동부의 카탈루냐 광역 자치주에 있는 DOP(Denominación de Origen Protegida) 와인 생산지입니다. 카탈루냐 광역 자치주의 대표적인 도시로는 바르셀로나(Barcelona)가 있죠. DOP는 "원산지 명칭 보호(protected denomination of origin)”라는 뜻으로 스페인 와인 품질 관리 시스템의 주류입니다. 규제위원회가 각 지역 별 영역과 사용 허가 품종, 최대 수확량, 최소 알코올 도수, 기타 품질 기준, 생산 제한량 등을 관리하죠. DOP를 비롯한 스페인 와인 등급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스페인] 스페인 와인 등급 - DOP 6단계 등급 1. 역사 스페인 와인의 등급제는 1932년에 DO(Denominación de..

[프랑스] 보르도(Bordeaux) > 그라브(Graves)

1. 그라브의 지리와 토양 그라브는 나중에 지롱드 강에 합쳐지는 가론(Garonne) 강의 북쪽 강변과 접한 와인 생산지입니다. 하위 와인 생산지로 페싹-레오냥(Pessac-Léognan)과 쏘테른(Sauternes), 바르삭(Barsac)이 있죠. 토양엔 자갈이 매우 많은 걸로 유명하고, 지역 이름도 자갈을 뜻하는 ‘Grave’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 자갈들은 빙하시대의 빙하 때문에 퇴적된 것으로 석영 함량이 많으며, 최고급 와인이 생산되는 일부 밭의 흙에는 이런 자갈이 많이 깔려 있습니다. 2. 그라브의 역사 그라브는 영국에서 보르도 와인의 대명사로 불리는 클라레(claret)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라브가 속한 아퀴텐의 여공작 엘레아노르(Eleanor of Aquitaine)와 영국 왕 헨..

[프랑스] 보르도(Bordeaux) > 오-메독(Haut-Medoc)

보르도 지방을 양분하며 흐르는 지롱드(Gironde) 강 왼편에는 좌안, 즉 레프트 뱅크(Left Bank)라고 부르는 와인 생산지들이 있습니다. 이곳은 대서양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기후 지대로 지역을 둘러싼 거대한 침엽수림이 종종 바다에서 불어오는 폭풍으로부터 포도밭을 보호해주죠. 레프트 뱅크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생산지는 메독(Médoc)입니다. 메독은 두 지역으로 나뉩니다. 하류 쪽을 바-메독(Bas-Médoc), 즉 낮은 메독이라고 하며, 상류 쪽을 오-메독(Haut-Médoc), 즉 높은 메독이라고 부르죠. 1936년 11월 14일 INAO(Institut National des Appellations d'Origine)가 법령에 따라 지정한 오-메독 AOC은 메독 반도를 따라 이어진 약 60㎞..

[프랑스] 보르도 - 생산지, 품종, 와인 등급 요약

1. 보르도의 와인 생산지 보르도는 다수의 와인 생산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와인 생산지들은 면적이 아주 다양하며 때때로 서로 겹칩니다. 와인 생산지들은 보르도시를 중심으로 아치 형태로 펼쳐져 있고, 아퀴텐(Aquitaine)의 지롱드(Gironde) 지구 전체를 뒤덮고 있죠. 지롱드 강 하구를 기준으로 메독(Médoc)과 그라브(Graves) 지역을 포함한 레프트 뱅크와 리부르네(Libournais)와 부르(Bourg), 블라예(Blaye)를 포함한 라이트 뱅크 지역으로 나뉩니다. 메독 지역은 상류에 있는 오-메독(Haut-Médoc)과 하류에 있는 바-메독(Bas-Médoc)으로 나뉩니다. 바-메독은 간단하게 메독(Médoc)이라고 언급되곤 하죠. 오-메독에는 쌩-떼스테프(St-Estèphe), 뽀이약..

[프랑스] 보르도(Bordeaux) > 오-메독(Haut-Medoc) > 물리 엉 메독(Moulis-en-Médoc)

물리 엉 메독은 프랑스 남서부 아퀴텐(Aquitaine) 지방의 지롱드(Gironde) 지역에 있는 마을입니다. 와인으로 유명한 오-메독(Haut-Medoc) AOC에 속해 있고 독자적인 지역 명칭, 즉 AOC를 쓸 수 있는 곳이죠. 1. 물리 엉 메독의 역사 물리에서는 고대 로마시대부터 포도를 가꾸고 와인을 만들어 왔습니다. 일찍이 까베르네 품종의 선조로 생각되는 비투리카(biturica) 포도를 재배했죠. 비투리카라는 이름은 술 잔치를 의미하는 ‘비투르(biture)’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중세 시대에 메독은 보르도의 곡물 저장고가 있던 곳이었습니다. 풍차로 곡물을 빻는 방앗간이 셀 수 없이 늘어서 있었죠. 물리라는 마을 이름은 풍차를 뜻하는 물리니스(Moulinis), 즉 오늘날의 물랭(..

[프랑스] 남부 론(Southern Rhone) > 지공다스(Gigondas)

1. 지공다스 개요 지공다스는 프랑스의 남부 론 지방의 와인 생산지입니다. 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하며 로제 와인도 약간 만들죠. 화이트 와인은 생산하지 않으며, 생산한다고 해도 와인 레이블에 "Gigondas"란 지역 명칭을 붙일 순 없습니다. "샤토네프 뒤 빠프(Châteauneuf-du-Pape)의 동생"이라는 평판처럼 지공다스 와인은 꽤 명성이 있고, 세심하게 생산된 와인은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지공다스 와인은 오로지 보클루즈(Vaucluse) 지역의 지공다스 마을에서만 생산합니다. 2. 지공다스의 역사 지공다스라는 이름은 라틴어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라틴어로 '조쿤디타스(Jocunditas)'는 커다란 쾌락과 즐거움을 뜻하며, 지공다스에 로마 2군단 병사들을 위한 위락 시설이 있었기에 이런 이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