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와이너리 138

[와인/스페인] 스페인 와인의 대표 주자 - 보데가 토레스(Bodega Torres) (재업)

1. 보데가 토레스 스페인 와인을 대표하는 '토레스 가문(Torres Family)'은 수 세대에 걸쳐서 스페인 와인에 관한 사랑과 와인 양조 비법을 계승해 왔습니다. 1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와인을 향한 열정과 노력, 헌신 속에서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을 가진 와인을 생산해왔죠. 포도밭과 와인을 향한 토레스 가문의 애정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졌으며, 와이너리의 전통과 미래에 대한 비전은 토레스를 세계 유수의 와인 생산자로 바꿔놓았습니다. 이러한 애정과 비전은 오늘날 전 세계 140개 이상의 나라에서 토레스 와인을 찾을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2. 토레스의 역사 토레스 가문이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만든 것은 약 300년 전의 일입니다. 일가가 처음 정착한 곳은 고대에 페니키아인이 포도원을 가꾸..

와인/와이너리 2023.11.20

[그리스] 140년이 넘는 그리스의 대표 와이너리 - J. 부따리 앤 손 와이너리(J. Boutari & Son Wineries S.A) (재업)

1. 부따리 와이너리의 역사 부따리 와이너리는 1879년 그리스 북부의 나우싸(Naoussa)에서 설립되었습니다. 144년의 역사는 이 와이너리가 그리스에서 가장 역사 깊은 수준 높은 와인 생산자라는 걸 보여주며, 전 세계적으로 그리스 와인의 대사와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고품질 와인 생산에 주력하는 부따리는 국제 와인 대회에서 370개의 메달을 수상했습니다. 미국의 유력 와인 잡지인 “와인 앤 스피리츠(Wine & Spirits)”는 부따리를 세계 10대 와이너리로 선정했습니다. 2011년에도 “올해의 국제적인 와이너리(International Winery of the Year)”로 뽑으면서 부따리는 총 15회에 걸쳐 본 상을 받았습니다. 2008년 역시 미국의 와인 잡지인 "와인 인슈지애스트(Wine..

와인/와이너리 2023.11.18

[프랑스] 프렌치 리비에라(French Riviera)를 대표하는 와인을 만드는 - 세인트 마거릿 앙 프로방스(Sainte Marguerite en Provence)

※ 이 포스트는 페르노리카코리아에서 주최한 시음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것입니다. 프랑스 남부의 프로방스(Provence) AOC에 있는 세인트 마거릿 앙 프로방스(Sainte Marguerite en Provence)는 프로방스의 18개 크뤼 클라쎄(Crus Classés)에 속한 포도원을 가진 와인 생산자입니다. 로제 와인을 주로 생산하는 프로방스의 와이너리답게 대표적인 와인은 로제 와인이지만,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도 소량 생산합니다. 1. 프로방스와 크뤼 클라쎄 프랑스의 3대 로제 와인 생산지로 파리 서쪽 루아르 밸리의 앙주(Anju)와 남부 론의 따벨(Tavel), 그리고 지중해와 접한 프로방스를 꼽곤 합니다. 특히 프로방스는 전체 와인 생산량의 절반 이상이 로제 와인이며, AOC(AOP) 와인..

와인/와이너리 2023.04.10

[호주] “이 모든 땅”에서 와인을 만들어 온 6세대 - 얄룸바(Yalumba)

호주 원주민 언어로 “이 모든 땅”이라는 뜻인 얄룸바(Yalumba) 와이너리는 1849년에 남호주 바로싸 밸리(Barossa Valley)에 세워졌습니다. 호주 최초로 비오니에 포도를 재배한 와이너리로 알려졌으며, 지금도 얄룸바의 비오니에 와인은 호주 최고의 품질을 보여줍니다. 1. 얄룸바의 역사 새로운 삶을 찾아 영국에서 바로싸 밸리로 이주한 사무엘 스미스(Samuel Smith) 가족은 1849년 앵거스톤(Angaston) 근처에 있는 12 헥타르의 포도밭을 구매해서 얄룸바 와이너리를 설립했습니다. 사무엘 일가는 포도밭에 자라고 있던 풀과 나무를 모두 제거하고 달빛 아래에서 첫 포도나무를 심었습니다. 이후 6세대 동안 얄룸바는 바로싸 밸리와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웅장한 미지의 것’을 포용하고 땅이..

와인/와이너리 2023.02.12

[미국] 나파 밸리의 아이콘 격인 와이너리 - 루이 M. 마티니(Louis M. Martini)

루이 M. 마티니(Louis M. Martini)는 1919년~1933년의 미국 금주법 시대(Prohibition era)에도 미사주를 공급하면서 전통을 이어온 와이너리입니다. 뛰어난 균형미(均衡味)와 독특한 떼루아의 장점을 잘 표현하는 장기 숙성용 레드 와인 생산자로 명성이 높죠. 루이 마티니는 1943년에 나파 밸리 와인 생산자 협회를 설립해서 와인 산업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고, 송풍장치를 이용한 서리 제거, 카네로스(Carneros)에서 피노 누아(Pinor Noir) 재배, 메를로(Merlot)를 사용한 단일 품종 와인을 처음 시도하는 등 미국 와인 산업 발전을 위한 기여들을 인정받아서 2008년

와인/와이너리 2022.09.04

[프랑스]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기 위해선 최고의 포도가 필요하다.” - 메종 루이 막스(Maison Louis Max)

1. 메종 루이 막스의 역사 메종 루이 막스는 조지아(Georgia)에서 와인 생산자의 아들로 태어난 이브겐 루이 막스(Evgueni Louis Max)가 세운 부르고뉴 네고시앙입니다. 러시아군에서 복무했던 이브겐은 짜르(Tsar)의 군대를 따라서 프랑스 부르고뉴에 도착했고, 곧 부르고뉴의 떼루아에 빠져들었죠. 전쟁이 끝난 후인 1859년에 이브겐은 부르고뉴에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부르고뉴 중심지인 뉘-쌩-죠르주 마을로 이주했고, 메종 루이 막스를 설립하여 와인 무역을 시작했죠. 이브겐은 부르고뉴의 주요 품종이면서 다른 곳에는 없을 부르고뉴의 떼루아를 잘 표현하는 피노 누아(Pinot Noir)와 샤르도네(Chardonnay)에 특히 주목했습니다. 당시 유럽 전역은 포도 뿌리에 기생하는 진딧물의 일..

와인/와이너리 2022.08.27

[프랑스] "부르고뉴의 위대한 부인" - '랄루' 비즈-르루아('Lalou' Bize-Leroy)

'랄루' 비즈-르루아 "부르고뉴의 위대한 부인(the Grande Dame of Bourgogne)" '랄루(Lalou)'로 잘 알려진 마르셀 비즈-르루아(Marcelle Bize-Leroy)를 표현하는 말로 이것만큼 뚜렷한 것은 없을 겁니다. 비즈-르루아가 와인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중 한 명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비단 그녀가 업계에서 오랫동안 활동했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녀의 와인이 부르고뉴 최고의 와인 중 하나이며 전 세계 와인 애호가들로부터 격찬을 받기 때문이죠. 1. 출생부터 도멘 드 라 로마네 꽁띠(Domaine de La Romanee Conti)의 공동 관리자 시기까지 마르셀 비즈-르루아는 1932년 꼬뜨 도르(Côte d'Or)의 와인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1868년..

와인/와이너리 2022.08.07

[프랑스] 호랑이가 낳은 호랑이 - PVG(Pierre Vincent Girardin)

"호랑이가 호랑이를 낳고 개가 개를 낳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근본에 따라 합당한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속담이죠. 호부견자(虎父犬子)라는 말도 있긴 하지만, 대체로 부모가 훌륭하면 자식이 뛰어나기 마련입니다. 와인업계에는 대대로 뛰어난 와인을 만드는 와이너리가 많지만, 프랑스 부르고뉴 꼬뜨 드 본(Côte de Beaune)의 와인 생산자였던 뱅상 지라르뎅(Vincent Girardin)과 그의 아들 삐에르 지라르뎅(Pierre Girardin)은 그중에서도 특출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1980년에 불과 19세의 나이로 와인을 만들기 시작했던 뱅상 지라르뎅은 물려받은 포도밭 2헥타르로 시작했으나 뛰어난 양조 기술을 바탕으로 큰 성공을 거둔 와인 생산자입니다. "뱅상은 특출난 재능의 소유..

와인/와이너리 2022.06.01

[칠레] G7의 생산자 - 비냐 델 페드레갈(Viña del Pedregal)

1. 비냐 델 페드레갈의 역사 1825년 스페인 출신의 까를로스 아돌포 델 페드레갈(Carlos Adolfo del Pedregal)이 칠레의 론꼬미야 밸리(Loncomilla Valley)에 포도원을 세우면서 시작된 비냐 델 페드레갈의 역사는 190년이 넘습니다. 1985년에 비냐 까르타 비에하(Viña Carta Vieja) 브랜드로 시장에 와인을 내놓았고, 지금은 대표적인 칠레 와인 중 하나로 전 세계 60여 개국으로 수출되고 있죠.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비냐 델 페드레갈의 주요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1825년 : 까를로스 아돌포 델 페드레갈이 오스트리아에서 칠레로 건너와 론꼬미야 밸리에서 포도밭을 개간했습니다. ② 1830년 : 판매용 와인을 위한 첫 오크통이 칠레에 도착했고, 양조장에..

와인/와이너리 2021.03.11

[호주] "매력적인 호주 문화의 다섯 아이콘" - 글래처 와인스(Glaetzer Wines)

1. 글래처 와인스의 역사 글래처 가문은 1888년 독일 브란덴부르크(Brandenburg)에서 바로싸 밸리(Barossa Valley)로 이민 왔습니다. 글래처 일가가 증기선 '합스부르그(Habsburg)'호를 타고 독일에서 아들레이드(Adelaide) 항구에 도착하기까지 약 7주가 걸렸다고 하는군요. 바로싸 밸리에서 가장 큰 마을 중 하나로 상업 중심지인 누리우트파(Nuriootpa)에 정착하면서 그들은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글래처 가문은 바로싸 밸리와 클레어 밸리에서 와인 관련업에 종사한 최초의 개척민 중 하나가 되었죠. 한 세기가 지난 후 가장인 콜린 글래처(Colin Glaetzer)는 최고급 바로싸 와인을 생산하는 부티끄 와이너리인 글래처 와인스를 설립했습니다. 콜린은 로즈워디(Rosew..

와인/와이너리 2021.03.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