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09

[프랑스] 젠틀맨의 샹파뉴 - 샴페인 폴 로저(Champagne Pol Roger)

1. 폴 로저 샴페인 하우스의 역사 1849년에 폴 로저가 설립한 폴 로저 샴페인 하우스는 주목할 만한 샴페인 생산자입니다. 1831년 12월 24일에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난 폴 로저는 처음엔 와인 도매업자로 와인 업계에 뛰어들었습니다. 그러다 1849년에 샹파뉴 지방의 에페르네(Epernay)시 근교에 자기 이름을 건 샴페인 하우스를 만들었고, 4년 뒤인 1853년에 첫 빈티지를 시장에 선보였죠.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소유권이 바뀌곤 했던 다른 샴페인 하우스와 달리 폴 로저 샴페인 하우스의 소유권과 경영권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폴 로저의 후손들이 갖고 있습니다. 폴 로저 샴페인은 "젠틀맨의 샹파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오랫동안 유럽 왕가와 상류층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폴 로저 샴페인 하우스는 1911..

와인/와이너리 2018.12.28

[이탈리아] 영롱한 루비에서 튀어나오는 붉은 과일과 그을린 나무향 - Prunotto & Antinori Prunotto Barolo DOCG 2011

프루노토 & 안티노리(Prunotto & Antinori)의 프루노토 바롤로(Prunotto Barolo) DOCG 2011은 이탈리아의 피에몬테(Piemonte)주에 있는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수확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바롤로는 바롤로 지역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으로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불립니다. 1. 와인 양조 프루노토 바롤로는 전통 방식치고 침용 기간이 15일로 짧습니다. 같은 전통 바롤로이지만, 포데리 알도 콘테르노 부시아 바롤로(Poderi Aldo Conterno..

[이탈리아] 클래식 바롤로 와인이 주는 복합적인 맛과 향 - Cavallotto Barolo Bricco Boschis DOCG 2012

칸티나 까발로또(Cantina Cavallotto)의 바롤로 브리꼬 보스키스(Barolo Bricco Boschis) DOCG 2012는 이탈리아의 피에몬테(Piemonte)주에 있는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바롤로는 바롤로 마을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으로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불립니다. 1. 칸티나 까발로또 4대째 가족 경영을 하는 전통 바롤로 와인 생산자인 칸티나 까발로또는 자연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떼루아를 표현한 와인을 만들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

[이탈리아] 우아한 산미와 고급스러운 탄닌을 가진 100% 유기농 와인 - Giacomo Marengo Barolo Cerequio DOCG 2004

쟈코모 마렝고(Giacomo Marengo)의 바롤로 체레퀴오(Barolo Cerequio) DOCG 2004는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Barolo)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바롤로는 이탈리아 동북부에 있는 피에몬테주의 바롤로 지역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1. 쟈코모 마렝고 고(故) 쟈코모 마렝고는 마렝고 가문의 방계이지만, 와인 생산자로서 라 모라에서 바롤로를 만들었습니다. 아들인 에밀리오(Emilio)는 가..

[이탈리아] 현대 기술을 배제하지 않은 전통에 대한 존중 - Azelia Barolo San Rocco DOCG 2014

아젤리아 농업회사(the Azienda Agricola Azelia)의 바롤로 산 로코(Barolo San Rocco) DOCG 2014는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아젤리아 농업회사 바롤로는 이탈리아 동북부에 있는 피에몬테주의 바롤로 마을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1920년 로렌초 스카비노(Lorenzo Scavino)는 랑게 지역 중심지의 작은 시골 마을에 있는 가문 소유..

[이탈리아] 관능적인 산미와 시원하고 짜릿한 느낌 - La Spinetta Barolo Campe DOCG 2005

라 스피네타(La Spinetta)의 바롤로 깜페(Barolo Campe) DOCG 2005는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수확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라 스피네타 바롤로는 이탈리아 동북부에 있는 피에몬테주의 바롤로 지역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1977년에 리베티(Rivetti) 가족은 바르바레스코(Barbaresco) 마을 근처의 까스따뇰레 란쯔(Castagnole Lanze)에 자리 잡고 20헥타르의..

[이탈리아] 부드럽고 진한 산미와 이에 붙는 끈적한 탄닌 - Paolo Scavino Barolo Carobric DOCG 1999

파올로 스카비노(Paolo Scavino)의 바롤로 까로브릭(Barolo Carobric) DOCG 1999는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파올로 스카비노 바롤로는 이탈리아 동북부의 피에몬테주에 있는 바롤로 지역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1921년에 피에몬테 까스틸리오네 팔레또 마을에서 로렌초 스카비노(Lorenzo Scavino)와 아들 파올로 스카비노(Paolo Scavin..

[이탈리아] 나비가 상징하는 유기농 와인 - Camparo Boiolo Barolo DOCG 2013

깜빠로 농업회사(Azienda Agricola Camparo)의 보이올로 바롤로(Boiolo Barolo) DOCG 2013은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Barolo) 지역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깜빠로 농업회사 바롤로는 이탈리아 동북부에 있는 피에몬테주의 바롤로 지역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부르죠. 깜빠로 농업회사는 와인과 헤이즐넛, 위대한 와인과 음식의 전통의 고향인 피에몬테주 랑게(Langhe)에서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

[프랑스] 마시기엔 이르지만, 앞으로 발전할 모습이 기대되는 와인 - Maison Leroy Bourgogne Rouge 2015

메종 르루아(Maison Leroy)의 부르고뉴 루즈(Bourgogne Rouge) 2015는 프랑스의 부르고뉴(Bourgogne) AOC에서 재배한 피노 누아(Pinot Noir) 포도로 만든 부르고뉴 지역(Régionales) 등급 레드 와인입니다. 1. 랄루 비즈 르루아(Lalou Bize Leroy) 가족 경영 중심으로 사업을 이어온 르루아는 1868년 프랑수아 르루아(Francois Leroy)가 뫼르쏘(Meursault) 인근에 있는 오쎄-뒤레스(Auxey-Duresses)에 메종 르루아(Maison Leroy)를 설립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1919년 앙리 르루아(Henri Leroy)가 사업에 참여했고, 그는 1942년에 친구 자크 샹봉(Jacques Chambon)으로부터 도멘 드 ..

[프랑스] 질릴 만큼 강한 기운과 풍미의 풀 바디 샴페인 - Champagne Marguet Grand Cru 2009

마르귀에(Marguet) 샴페인 하우스의 그랑 크뤼(Grand Cru) 2009는 프랑스의 샹파뉴(Champagne) 지역에서 재배한 피노 누아(Pinot Noir)와 샤르도네(Chardonnay) 포도를 반반씩 섞어서 만든 그랑 크뤼 등급 샴페인입니다. 1. 마르귀에 샴페인 하우스 마르귀에 샴페인 하우스는 전통적인 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바이오다이나믹(biodynamic) 농법으로 포도를 재배하며 이산화황(SO2)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등 최대한 자연적인 방법으로 샴페인을 생산합니다. 샴페인을 만드는 화이트 와인은 밭마다 따로 수확한 포도를 나무통에 숙성해서 만들죠. 또한, 이스트 잔해인 리(Lees)와 함께 오래 숙성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샴페인치고 꽤 묵직한 풀 바디였습니다. 샴페인 마르귀에 그..

[호주] 불사조가 생각나는 붉은 흙에서 탄생한 와인 - Penley Estate Phoenix Cabernet Sauvignon 2016

펜리 이스테이트(Penley Estate)의 피닉스 까베르네 소비뇽(Phoenix Cabernet Sauvignon) 2016은 호주 사우쓰오스트레일리아주의 라임스톤 코스트 지구(Limestone Coast Zone)에 있는 쿠나와라(Coonawarra) 지역에서 재배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으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와 와인 양조 펜리 이스테이트는 100년 넘게 와인을 만들어온 호주 와인의 명가 펜폴즈(Penfolds)와 톨리(Tolley) 가문의 자녀가 결혼하면서 탄생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뛰어난 와인을 생산해오면서 로버트 파커(Robert Parker) Jr. 와 제임스 할리데이(James Halliday) 같은 유명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

[이탈리아] 연한 루비색, 강철 같은 탄닌, 매혹적인 산미 - Marziano Abbona Barolo DOCG 2012

마르찌아노 아보나(Marziano Abbona)의 바롤로(Barolo) DOCG 2012는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의 바롤로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아보나(Abbona) 가문은 1920년대부터 포도를 재배했고, 1970년에 와인과 땅, 포도밭에 관한 열정을 갖고 와이너리를 설립했습니다. 피에몬테의 돌리아니(Dogliani)와 바롤로, 바르바레스코(Barbaresco)에 52헥타르의 포도밭을 가졌고, 포도밭마다 가장 알맞은 품종을 기릅니다. 약 60년 전에 첼소 아보나(Celso Abbona)는 돌체토 디 돌리아니(Dolcetto di Dogliani) 와인을 생산하려고 산타 루치아 디 돌리아니(Santa Lucia di ..

[프랑스] 아름답고 섬세하며 깔끔한 맛 - Champagne Piper Heidsieck Vintage Brut 2008

파이퍼 하이직(Piper Heidsieck)의 빈티지 브뤼(Vintage Brut) 2008은 프랑스의 AOC 샹파뉴(Champagne)에서 재배한 샤르도네(Chardonnay) 52%와 피노 누아(Pinot Noir) 48%를 사용해서 만든 샴페인입니다. 1. 파이퍼 하이직 샴페인 하우스 "나는 샤넬 넘버 5를 입고 잠이 들고, 파이퍼 하이직 한 잔으로 아침을 시작해요." 라고 마릴린 먼로는 1979년 5월에 말했습니다. 이로 인해 샤넬 넘버 5는 향수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입에도 회자되었고, 파이퍼 하이직도 특별한 샴페인으로 알려지게 되었죠. 비단 마릴린 먼로의 말이 없었더라도 파이퍼 하이직은 긴 역사 동안 훌륭한 맛과 향을 지닌 샴페인으로 많은 와인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파이퍼 하이직의..

[종류] 내추럴 와인(Natural Wine)

1. 내추럴 와인(Natural Wine)? 내추럴 와인은 포도 재배와 와인 양조에서 화학적, 기술적 사용을 최소화한 와인입니다. 내추럴 와인은 양조 단계에서도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유기농(organic) 와인이나 생체역학(biodynamic) 와인과 구별되죠. 그러나 모든 내추럴 와인은 적어도 유기농법으로 기른 포도로 만들며, 많은 생산자가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을 사용합니다. 내추럴 와인은 와인을 만들 때 어떤 물질도 더하거나 빼지 않고 만듭니다. 일부 생산자들이 와인을 병에 담을 때 아주 적은 양의 이산화황(SO2)을 사용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그런 와인은 내추럴 와인이 아니라 유기농 와인이나 바이오다이나믹 와인입니다. 유기농 와인은 포도를 유기 농법으로 재배한다는 의미에선 유기농 와인이지만..

[이탈리아] 5년 간 발효한 끝에 탄생한 아름답고 고귀한 와인 - Principe Corsini Sant'Andrea Corsini Vin Santo del Chianti Classico DOC 2005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산탄드레아 코르시니 빈 산토 델 끼안티 끌라시코(Sant'Andrea Corsini Vin Santo del Chianti Classico) DOC 2005는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주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 지역에서 재배한 말바지아(Malvasia)와 트레비아노(Trebbiano) 포도를 6:4로 섞어서 만든 DOC 등급의 스위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

[이탈리아] 프랑스 와인의 느낌이 묻어나는 이탈리아 와인 - Principe Corsini Tenuta Marsiliana Birillo Costa Toscana IGT 2014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가 보유한 테누타 마르실리아나(Tenuta Marsiliana)에서 만든 비릴로 코스타 토스카나(Birillo Costa Toscana) IGT 2014는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주의 마렘마 토스카나(Maremma Toscana) DOC 지역에서 재배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과 메를로(Merlot)를 사용한 IGT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와 마렘마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

[이탈리아] 피노 누아의 분위기를 풍기는 산지오베제 - Principe Corsini Zac Toscana Sangiovese IGT 2015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작 토스카나 산지오베제(Zac Toscana Sangiovese) I.G.T 2015는 이탈리아의 토스카나(Toscana)주에서 수확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로 만든 I.G.T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죠. 1100년대 말엽에 토스카나의 포지본시(Poggibonsi)에서 시작한 코르시니 가문의 역사는 매우 화려합니다. 처음엔 상인..

[이탈리아] 자랑스러운 선조의 이름에 어울리는 훌륭한 잠재력 - Principe Corsini Don Tommaso Chianti Classico Gran Selezione DOCG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돈 토마조 끼안티 끌라시코 그란 셀레찌오네(Don Tommaso Chianti Classico Gran Selezione) D.O.C.G 2015는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주의 D.O.C.G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80%에 메를로(Merlot) 20%를 넣어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

[이탈리아] 오래 숙성한 끼안티 끌라시코 와인에서 나오는 복합적인 향의 세련된 표현 - Principe Corsini Cortevecchia Chianti Classico Riserva DOCG 2014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꼬르테베키아 끼안티 끌라시코 리제르바(Cortevecchia Chianti Classico Riserva) D.O.C.G 2014는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주의 D.O.C.G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95%에 콜로리노(Colorino) 5%를 섞어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높은 점수를 ..

[이탈리아] 글자 그대로 "Sour Cherry" 맛이 나는 끼안티 끌라시코 - Principe Corsini Le Corti Chianti Classico DOCG 2014

프린치페 코르시니(Principe Corsini)의 르 꼬르티 끼안티 끌라시코(Le Corti Chianti Classico) DOCG 2014는 이탈리아의 토스카나(Toscana)주에 있는 D.O.C.G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95%에 콜로리노(Colorino) 5%를 넣어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프린치페 코르시니는 중세부터 현대까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많은 발자취를 남긴 명망 있는 귀족 가문인 코르시니(Corsini)가 운영하는 와이너리입니다.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와 마렘마(Maremma)에 포도원이 있으며, 해외의 유명한 평론가와 와인 잡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