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ocg 130

[이탈리아] 붉은 과일, 신맛, 홍차, 나무. 끼안티의 특성이 살아있는 - Castellare di Castellina Chianti Classico 2011

목차1. 개요2. 끼안티 클라시코 DOCG   1) 끼안티 클라시코 DOCG의 유래   2) 끼안티 클라시코 DOCG의 생산 규정과 세부 등급3. 카스텔라레 디 카스텔리나 끼안티 클라시코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카스텔라레 디 카스텔리나(Castellare di Castellina, 이하 카스텔라레)의 끼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 2011은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주의 끼안티 클라시코 DOCG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의 클론(clone) 품종인 산지오베토(Sangiovese)에 까나이올로(Canaiolo)를 혼합해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2. 끼안티 클라시코 DOCG1) 끼안티 클라시코 DOCG의 유래끼안티 클라시코는 토..

[이탈리아] 진하고 끈끈하며 관능적인 맛과 아주 복합적인 향 - i Capitani Taurasi Bosco Faiano DOCG 2012

이 카피타니(i Capitani)의 타우라시 보스코 파이아노(Taurasi Bosco Faiano) DOCG 2012는 타우라시 DOCG의 알리아니코(Aglianic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1. 타우라시 DOCG깜빠니아주의 아벨리노(Avellino) 지방에 있는 타우라시 DOCG는 알리아니코를 주로 사용하는 레드 와인 생산지입니다. 1970년에 DOC(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로 지정되었고, 1993년에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로 승격되었죠. 17개 지방자치단체가 이곳에 속해 있으며, 또 다른 유명한 알리아니코 와인 생산지인 바실리카타(Basilicata)주의 알리아니코 델 불투레(..

[이탈리아] 바나나 같은 노란 과일 풍미가 입에 한가득! - i Capitani Greco di Tufo Serum DOCG 2019

이 카피타니(i Capitani)의 그레코 디 투포 세룸(Greco di Tufo Serum) DOCG 2019는 그레코 디 투포 DOCG에서 재배한 그레코 디 투포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1. 그레코 디 투포 DOCG그레코 디 투포 DOCG는 이탈리아 남부의 깜빠니아(Campania)주에 있는 와인 생산지입니다. 깜빠니아주의 중앙에 위치하며 피아노 디 아벨리노(Fiano di Avelino) DOCG의 북쪽에 있죠. 1970년에 DOC로 지정되었고, 2003년에 DOCG로 승격되었습니다. DOC와 DOCG를 비롯한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 체계에 대해선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이탈리아] 2010년 기준 이탈리아 와인 명칭 시스템(Italian Appellation System)이 지역의 주요 ..

[이탈리아] 독특하고 복합적인 향과 맛 - i Capitani Fiano di Avellino Gaudium DOCG 2018

이 카피타니(i Capitani)의 피아노 디 아벨리노 가디움(Fiano di Avellino Gaudium) DOCG 2018은 피아노 디 아벨리노 DOCG에서 재배한 피아노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1. 피아노 디 아벨리노 DOCG피아노 디 아벨리노 DOCG는 이탈리아 남부 깜빠니아(Campania)주의 중앙에 있는 와인 생산지입니다. 1978년에 DOC로 지정되었고, 2003년에 DOCG로 승격되었죠. DOC와 DOCG를 비롯한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 체계에 대해선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이탈리아] 2010년 기준 이탈리아 와인 명칭 시스템(Italian Appellation System)피아노 디 아벨리노의 주요 품종은 명칭 그대로 피아노 청포도입니다. 피아노 포도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뛰..

[이탈리아] 신선하고 우아하며 순면 같은 부드러운 맛 - Tenuta La Meridiana Le Gagie Barbera d’Asti DOCG 2016

테누타 라 메리디아나(Tenuta La Meridiana)의 레 가지에 바르베라 다스티(Le Gagie Barbera d’Asti) 2016은 이탈리아 북서부의 피에몬테(Piemonte) 주에 있는 아스티(Asti) 마을의 포도밭에서 재배한 바르베라(Barbera)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테누타 라 메리디아나는 피에몬테 아스티 남쪽의 몽페라토(Monferrato) 언덕에 있습니다. 피에몬테 포도 농사의 요람과 같은 몽페라토 언덕은 바르베라 포도를 재배하기 좋은 곳이죠. 진흙(clay)과 응회암(tuff) 층이 깔린 이회토(marl)로 이루어진 몽페라토의 토양은 이곳에서 왕 같은 지위를 차지하는 바르베라 포도의 특성을 강하게 해 줍니다. 테누타 라 메리디아나는 바르..

[이탈리아] 클래식과 모던이 잘 조화된 맛과 향 - Castello di Meleto Chianti Classico Riserva 2017

까스텔로 디 멜레토 끼안티 끌라시코 리제르바(Castello di Meleto Chianti Classico Riserva) 2017은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주에 있는 끼안티 끌라시코 지역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 95%에 메를로(Merlot) 5%를 넣어서 만드는 레드 와인입니다. 1. 까스텔로 디 멜레토(Castello di Meleto) 카스텔로 디 멜레토는 토스카나에서 가장 아름다운 와이너리로 손꼽힙니다. 토스카나의 부드러운 능선 위에 우뚝 솟은 1256년에 세워진 “끼안티의 멜레토” 성은 호텔과 레스토랑을 갖추고 있어서 중세시대의 낭만을 즐길 수 있습니다. 고성인 멜레토 성은 1256년에 작성된 피렌체 구엘프의 이라는 추정서에서 지역 봉건 가문의 재산으로..

[이탈리아] 마시기엔 일렀지만 그래도 강하고 인상적인 모습 - Frescobaldi Castel Giocondo Brunello di Montalcino 2006

까스텔 지오콘도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Castel Giocondo Brunello di Montalcino) 2006은 이탈리아에서 700년이 넘도록 와인 산업에 종사해 온 프레스코발디(Frescobaldi)가 토스카나(Toscana) 주에 있는 몬탈치노(Montalcino) 마을에서 기른 산지오베제 그로쏘(Sangiovese Grosso) 포도로 만드는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프레스코발디 프레스코발디 가문의 가업은 은행업이지만, 이탈리아 와인 산업계에서도 700년 이상 활약했습니다. 영국의 에드워드 1, 2세(Edward I, II)와 헨리 8세(Henry VIII)가 뛰어난 품질을 가진 프레스코발디 와인을 즐겨 마셨고,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 예술가 도나텔로(Donatello), 미켈로..

[이탈리아] 잠재력은 있으나 마시기엔 이른 와인 - Chionetti Dolcetto di Dogliani Briccolero 2012

끼오네티(Chionetti)의 돌체토 디 돌리아니 브리꼴레로(Dolcetto di Dogliani Briccolero) 2012는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 주에 있는 랑게(Langhe) 지역의 돌리아니(Dogliani) 마을에서 재배한 돌체토(Dolcett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끼오네티 끼오네티는 1912년에 주세페 끼오네티(Giuseppe Chionetti)가 돌리아니 마을의 산 루이지(San Luigi)에 있는 포도 재배에 알맞은 농장을 구매해서 세운 와이너리입니다. 주세페의 손자인 퀸토(Quinto)의 마케팅으로 성장했고, 퀸토의 아들인 안드레아(Andrea)는 크뤼(Cru) 와인인 소리 브리꼴레로(Sorì Briccolero)와 산 루이지(San Luigi),..

[이탈리아] 진하고 깨끗한 맛으로 닭고기와 돼지고기에 잘 어울리는 - Marziano Abbona Tistin Roero Arneis 2019

마르지아노 아보나(Marziano Abbona)의 티스틴 로에로 아르네이스(Tistin Roero Arneis) 2019는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 주에 있는 랑게(Langhe) 지역의 로에로(Roero) 마을에서 재배한 아르네이스(Arneis)로 만든 DOCG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마르지아노 아보나는 50년 전통의 피에몬테 와이너리입니다. 아보나(Abbona) 가문은 1920년대부터 포도를 재배했고 1970년에 와이너리를 설립했죠. 약 60년 전 첼소 아보나(Celso Abbona)는 돌체토 디 돌리아니(Dolcetto di Dogliani) 와인을 생산하려고 산타 루치아 디 돌리아니(Santa Lucia di Dogliani)에 있는 전설적인 포도밭인 브리꼬..

[이탈리아] 지금도 매우 맛있고 몇 년 숙성하면 더 좋아질 와인 - Querciabella Chianti Classico DOCG 2018

아그리콜라 쿠에르챠벨라(Agricola Querciabella)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 DOCG 2018은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주에 있는 끼안티(Chianti) 지역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끼안티 와인 르네상스 문화의 유수한 중심지인 토스카나는 오늘날 이탈리아에서 가장 번창한 농업지역 가운데 하나입니다. 밀을 비롯한 곡물, 올리브와 올리브유, 와인 생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죠. 이곳의 전통적인 와인 생산지로 끼안티가 있습니다. 13세기의 기록에 "플로렌스(Florence) 주변의 끼안티 산맥(Chianti Mountains)에서 포도재배와 ..

[이탈리아] 치밀하고 강인한 탄닌과 맛있는 산미 - Marziano Abbona Barolo DOCG 2016

마르찌아노 아보나(Marziano Abbona)의 바롤로(Barolo) DOCG 2016은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 주에 있는 바롤로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바롤로 와인 온 국토에서 와인이 생산되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는 곳 중 하나가 북서쪽의 피에몬테입니다. 이 피에몬테에서도 가장 뛰어난 와인 생산지가 바롤로 DOCG 지역이고, 이곳에서 네비올로 포도로 규정에 맞춰 생산하는 와인이 종종 "이탈리아에서 가장 위대한 와인", "이탈리아 와인의 왕" 등으로 불리는 바롤로 와인이죠. 바롤로 와인은 포도 수확부터 발효, 오크통 숙성과 병 숙성까지 적어도 38개월 이상 걸려야 합니다. 이때 오크통 숙성을 최소 18개월..

[이탈리아] 맛있고 새콤한 과일 젤리를 먹는 것 같은 느낌 - Castello di Volpaia Chianti Classico DOCG 2016

까스텔로 디 볼파이아(Castello di Volpaia)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 DOCG 2016은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주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 지역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와 메를로(Merlot)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주의 시에나(Siena) 시 북쪽 해발 450미터 고지대에 자리한 까스텔로 디 볼파이아는 와인 스펙테이터(Wine Spectator)와 와인 애드버킷(Wine Advocate), 디캔터(Decanter), 와인 인슈지애스트(Wine Enthusiast) 같은 주요 와인 잡지로부터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는 와인을 매년 생산하는 뛰어..

[이탈리아] 끼안티 리제르바의 매력적인 맛과 향을 제대로 - La Spinetta Casanova Chianti Riserva 2015

라 스피네타(La Spinetta)의 까사노바 끼안티 리제르바(Casanova Chianti Riserva) 2015는 이탈리아 중부의 토스카나(Toscana)주에 있는 끼안티(Chianti) DOCG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라 스피네타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와인 잡지인 감베로 로쏘에서 잔 3개(Tre Bicchieri)를 가장 많이 받은 안젤로 가야(Angelo Gaja)에 필적할 와이너리로 자주 언급되는 와이너리입니다.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Piemonte)에서 와인을 만들기 시작했고, 최초의 단일 포도밭(First Single-Vineyard) 모스까토 다스티인 브리꼬 콸리아(Bricco Quaglia)와 비앙코스피노(..

[이탈리아] 탄탄한 탄닌에 이어지는 붉은 과일과 나무 풍미의 우아한 조화 - Tenuta Alzatura Montefalco Sagrantino DOCG 2013

테누타 알자투라(Tenuta Alzatura)의 몬테팔코 사그란티노(Montefalco Sagrantino) 2013은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주의 몬테팔코(Montefalco) DOCG에서 재배한 사그란티노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와 와인 양조 테누타 알자투라는 1990년대 말에 체끼(Cecchi) 가문이 몬테팔코의 토착 품종인 사그란티노에 관심을 가지면서 투자한 와이너리입니다. 몬테로네(Monterone)와 산 마르코(San Marco), 알자투라 세 곳에 각각 포도밭이 있죠. 몬테팔코 DOCG에서 주로 재배하는 사그란티노 포도는 최근 재배량이 늘고 있습니다. 2000년에 재배 면적이 351헥타르였지만, 10년 후인 2020년에는 994헥타르로 2...

[이탈리아] 지금이 딱 타이밍! - Bersano Barolo Nirvasco DOCG 2005

베르사노 비니(Bersano Vini)의 바롤로 니르바스코(Barolo Nirvasco) 2005는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주에 있는 바롤로(Barolo)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바롤로 니르바스코 2005 앞서 베르사노의 바롤로 니르바스코 2001을 소개했습니다. 1907년 쥬세페 베르사노(Giuseppe Bersano)가 바르베라 다스티(Barbera d’Asti)의 중심지인 니짜 몽페라토(Nizza Monferrato)에 설립한 와이너리에서 만든 바롤로 니르바스코 2001은 오랜 세월이 지나야 본연의 모습을 보여주는 바롤로 와인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와인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억세고 아릴 정도로 강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

[이탈리아] 오랜 시간을 지나 본연의 모습을 보여준 - Bersano Barolo Nirvasco DOCG 2001

베르사노 비니(Bersano Vini)의 바롤로 니르바스코(Barolo Nirvasco) 2001은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주에 있는 바롤로(Barolo)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1907년 쥬세페 베르사노(Giuseppe Bersano)는 바르베라 다스티(Barbera d’Asti)의 중심지인 니짜 몽페라토(Nizza Monferrato)에서 12헥타르의 포도밭으로 베르사노 비니의 문을 열었습니다. 1912년에는 바르베라 포도밭으로 둘러싸인 콘티 크레모시나 포도원(Conti Cremosina Estate)를 구매했죠. 쥬세페의 아들인 아르투로(Arturo)는 베르사노 비니를 오늘날의 위치로 올려놓았습니다. 1940..

[이탈리아] 다양한 베리 향과 힘 있는 산미를 가진 기품 있는 와인 - Romeo Vino Nobile di Montepulciano DOCG 2016

로메오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Romeo Vino Nobile di Montepulciano) 2016은 이탈리아 중부의 토스카나(Toscana)주에 있는 몬테풀치아노(Montepulciano) 마을에서 재배한 산지오베제(Sangiovese)와 콜로리노(Colorino), 맘모로(Mammolo)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와 와인 양조 로메오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 2016의 생산자인 마시모 로메오(Massimo Romeo)는 "품질과 진정성"이라는 목표로 자신의 포도밭을 일궈왔습니다. 1990년부터 유기농법과 땅에 대한 존중, 건강한 포도에 대한 믿음을 갖고 양조 학자 안드레아 마쪼니(Andrea Mazzoni)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와인을 더욱 미세하게..

[이탈리아] 기름지고 진해서 닭백숙과 어울릴 맛 - Tesco Finest Soave Classico Superiore 2010

테스코 파이니스트 소아베 클라시코 수페리오레(Tesco Finest Soave Classico Superiore) 2010은 이탈리아 북동부의 베네토(Veneto)주에 있는 소아베(Soave) 지역에서 기른 가르가네가(Garganega)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테스코 파이니스트 테스코는 영국의 체슌트(Cheshunt)에 본사가 있는 국제적인 식료품과 잡화 소매점입니다. 영업이익으로는 월-마트(Wal-Mart)와 까르푸(Carrefour)에 이어 전 세계 3위이며, 순수익으로는 월-마트 다음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는 초대형 소매 체인점이죠.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의 14개국에 진출했으며, 영국에선 전체 식료품 시장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아울러 말레이시아와 아일랜드, ..

[이탈리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많은 맛있는 와인 - Icardi Barbaresco Starderi DOCG 2015

이까르디 바르바레스코 스타데리(Icardi Barbaresco Starderi) 2015는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Piemonte)주의 랑게(Langhe) 지역에 있는 바르바레스코(Barbaresco) DOCG에서 재배한 네비올로(Nebbiolo)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지와 와인 생산자 바르바레스코는 바롤로(Barolo)와 자매 같은 와인입니다. 바롤로 동북쪽의 이웃 마을인 바르바레스코에서 바롤로처럼 네비올로 포도로 만드는 와인이기 때문이죠. 두 마을이 서로 가깝고 양조에 쓰는 품종도 같아서 두 와인은 성격도 비슷합니다. 그러나 강건한 바롤로보다 바르바레스코가 조금 더 부드럽죠. 그래서 바롤로를 "왕들의 와인", 바르바레스코를 "여왕들의 와인", 또는 "귀족들의 와인"이라고 부릅..

[이탈리아] 긴 세월이 만들어낸 잘 숙성되고 맛있는 바르베라 와인 - Icardi Nuj Suj Barbera d'Asti DOCG 2010

이까르디 누이 수이 바르베라 다스티(Icardi Nuj Suj Barbera d'Asti) 2010은 이탈리아 서북부의 피에몬테(Piemonte)주에 있는 아스티(Asti)도에서 재배한 바르베라(Barbera) 포도로 만든 DOCG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피에몬테에서 최적의 와인 산지라고 평가받는 랑게(Langhe)와 몽페라토(Monferrato)의 중심부에 있는 아지엔다 아그리콜라 이까르디는 1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 깊은 와이너리입니다. "최고의 와인은 인간의 사랑을 가득 담은 최상의 포도에서 탄생한다."라는 양조 철학을 갖고 천혜의 자연환경과 함께 최고를 향한 끊임없는 열정으로 피에몬테 와인의 전설을 만들고 있죠. 와인 생산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는 와인 메이커인 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