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투스칸은 이탈리아 와인법을 따르진 않지만,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 지방에서 생산되는 매우 뛰어난(Super) 품질의 와인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1. DOC 제도의 문제점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 체계는 DOC(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데노미나지오네 디 오리지네 콘트롤라타)라고 합니다. 이 제도는 이탈리아 와인의 품질을 관리하려고 1963년에 프랑스의 AOC를 모방해서 만든 것이죠. 그래서 DOC 제도는 AOC처럼 와인 산지별로 와인 생산과 관련된 규정을 정해 놓고, 이 규정으로 통제해서 와인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DOC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규정 중 하나가 "해당 지역에 허용된 포도를 사용해서 와인을 만들어야 한다"입니다. 예를 들어 토스카나의 끼안티 끌라시코(Chianti Classico)에서는 산지오베제(Sangiovese) 포도와 까나이올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시라(Syrah)를 사용해서 와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Chianti Classico"라는 명칭을 레이블에 붙일 수 있죠. 그러나 이 규정은 와인 품질이 평범해도 규정에 따라 만들면 상위 등급을 주고, 품질이 아무리 좋아도 규정에 어긋나면 하위 등급을 준다는 점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었습니다.
2. 슈퍼 투스칸의 탄생
최초의 슈퍼 투스칸 와인은 테누타 산 귀도(Tenuta San Guido)의 마르케시 인시자 델라 로체타(Marchesi Incisa della Rocchetta) 후작이 만든 사시까이아(Sassicaia)입니다. 청년 시절부터 유럽 사교계에서 프랑스의 고급 와인을 마셨던 후작은 이탈리아에서도 프랑스 와인 같은 와인을 만들고 싶어했죠. 그러다가 볼게리의 상속지에 포도밭을 가꾸고, 자신이 마실 와인을 생산합니다. 자갈이 많은 볼게리의 떼루아가 보르도 메독의 그라브(Grave) 지역과 비슷했기에 후작은 보르도 뽀이약(Pauillac)의 샤토 라피트 로칠드(Chateau Lafite-Rothschild)에서 까베르네 소비뇽과 까베르네 프랑 묘목을 얻어와서 심었죠.
1964년에 나온 첫 빈티지의 품질은 썩 좋지 못했지만, 와인이 점차 숙성되고 양조법을 개선하면서 맛과 향이 점점 좋아졌습니다. 마침내 1968년에 사시까이아 1967 빈티지가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면서 와인업계에선 이 독특한 이탈리아 와인에 주목하죠. 하지만 사시까이아가 처음 시장에 나왔을 때만 해도 DOC의 등급 규정은 별다른 논란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습니다.
3년 뒤인 1971년에 삐에로 안티노리(Piero Antinori)가 까베르네 소비뇽과 산지오베제를 성공적으로 혼합한 티냐넬로(Tignanello)를 만듭니다. 티냐넬로가 제2의 슈퍼 투스칸 와인 붐을 일으키자 DOC의 등급 규정 문제는 표면으로 떠오르게 되죠. 사시까이아에 이어서 뛰어난 품질을 가진 티냐넬로가 "지역에 허용된 포도를 사용해야 DOC 등급으로 인정되는" 규정 때문에 "비노 다 따볼라(Vino da Tavola)"란 최하위 등급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또 일어나자 사람들은 법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DOC 체계의 모순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비록 최하위 등급을 받았지만, 품질과 가격에서 엄연히 최고 등급인 DOCG를 넘어서는 사시까이아와 티냐넬로가 출시된 후 여기에 자극받은 토스카나 와이너리들은 최하위 등급이라는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DOC 규정에서 벗어난 와인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1978년에 보르도 품종과 산지오베제를 혼합한 솔라이아(Solaia)가 나오고, 1985년에는 보르도 품종을 섞어서 만든 오르넬라이아(Ornellaia)가 선보이죠. 다음 해인 1986년에 오르넬라이아에서 다시 메를로 100%의 마세토(Masseto)가 나옵니다. 이렇게 생산된 고품질 토스카나 와인을 와인애호가들은 "슈퍼 투스칸"이란 이름을 붙이며 열광했습니다.
슈퍼 투스칸 와인이 세계 와인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영향력이 늘어나자 이탈리아 정부는 1992년 1월에 기존 DOC 제도를 개정한 고리아법을 발표하죠. 고리아법에는 기존 DOC 규정에 없는 IGT(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등급이 있습니다. 이 등급은 DOC나 DOCG 등급보다 규정이 상당히 완화되었고, 특히 포도 품종의 선택에 관한 제한이 많이 줄어들었죠. 그래서 고리아법이 발효된 후에 슈퍼 투스칸 와인은 대부분 IGT 등급으로 들어갑니다. 최근에는 이탈리아의 전통 포도를 사용하지 않아도 DOC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또다시 규정이 변경되었고, 사시까이야는 볼게리 사시까이야(Bolgheri-Sassicaia) DOC라는 등급을 받았습니다.
3. 슈퍼 투스칸 와인의 변화
현재 슈퍼 투스칸 와인은 수십 종으로 늘어났으며,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① 사시까이아로 대변되는 보르도 와인 스타일
② 마세토로 대변되는 단일 품종 와인 스타일
③ 글로벌 품종에 이탈리아 고유 포도 품종을 혼합한 와인 스타일
④ 이탈리아 와인법에 벗어난 온갖 와인 스타일
아래의 링크는 슈퍼 투스칸 와인 시음기입니다.
<참고 자료>
1. 휴 존슨, 젠시스 로빈슨 저, 세종서적 편집부, 인트랜스 번역원 역, 와인 아틀라스(The World Atlas of Wine), 서울 : 세종서적(주), 2009
2. 크리스토퍼 필덴, 와인과 스피리츠 세계의 탐구(Exploring the World of Wines and Spirits), 서울 : WSET 코리아, 2005
3. 오즈 클라크 저, 정수경 역, 오크 클라크의 와인 이야기_OZ Clark's Introducing Wine, 서울 : (주)푸른길, 2001
4. 영문 위키피디아 슈퍼 투스칸 항목
5.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