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슬링 34

[독일] "장미 울타리"에서 탄생한 싱그럽고 발랄한 맛과 향 - Weingut Leitz Rüdesheimer Berg Roseneck Spätlese 2014

목차1. 개요2. 슈페트레제3. 포도원과 와인 양조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바인구트 라이츠(Weingut Leitz)의 뤼데스하이머 베르크 로즈넥 슈페트레제(Rüdesheimer Berg Roseneck Spätlese) 2014는 독일 라인가우(Rheingau)의 뤼데스하임(Rüdesheim)에 있는 베르크 로즈넥 포도원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프레디카츠바인(Prädikatswein) 등급의 세미 스위트 화이트 와인입니다. 2. 슈페트레제독일 와인은 일반 테이블 와인인 게슛스터 게오그라피셔 안가베(geschützte geografische Angabe, g.g.A)와 고급 와인인 게슛스터 울슈프롱스베자이휘눙(geschützte Ursprungsbe..

[독일] 달지 않은 리슬링 와인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운 향과 맛 - Weingut Leitz Rüdesheimer Berg Rottland GG "Hinterhaus" 2011

목차1. 개요2. 리슬링3. 베르크 로틀랜드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바인구트 라이츠(Weingut Leitz)의 뤼데스하이머 베르크 로틀랜드 "힌터하우스"(Rüdesheimer Berg Rottland "Hinterhaus") 2011은 독일 라인가우(Rheingau)의 뤼데스하임(Rüdesheim)에 있는 베르크 로틀랜드 포도원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그로세스 게벡스(Großes Gewächs) 등급의 드라이 화이트 와인입니다. 2. 리슬링리슬링은 라인강 지역이 원산지인 청포도입니다. 드라이한 와인부터 노블 롯(noble rot)을 이용한 아주 달콤한 와인까지 만들 수 있으며, 스파클링 와인을 만드는 데도 사용됩니다.리슬링 와인은 아주 뚜렷한 두 ..

[독일] 유리인 듯 철판인 듯 얇고 치밀한 구조 - Weingut Leitz Rüdesheimer Berg Schlossberg GG "Ehrenfels" 2011

목차1. 개요2. 그로세스 게벡스3. 베르크 슐로스베르크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바인구트 라이츠(Weingut Leitz)의 뤼데스하이머 베르크 슐로스베르크 게게 "에른펠스"(Rüdesheimer Berg Schlossberg GG "Ehrenfels") 2011은 독일 라인가우(Rheingau)의 뤼데스하임(Rüdesheim)에 있는 베르크 슐로스베르크 포도원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그로세스 게벡스(Großes Gewächs) 등급의 드라이 화이트 와인입니다. 2. 그로세스 게벡스그로세스 게벡스는 페어반트 도이처 프레디카츠바인귀터(Verband Deutscher Prädikatsweingüter), 약칭 VDP(바우데페)에서 제정한 최상위 와인 등..

[독일] "장미 울타리"에서 나왔지만, 꽃보다 과일 향을 풍기는 - Weingut Leitz Rüdesheimer Berg Roseneck Alter Reven 2010

목차1. 개요2. 바인구트 라이츠3. 포도원 : 베르크 로즈넥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바인구트 라이츠(Weingut Leitz)의 뤼데스하이머 베르크 로즈넥 알터 레벤(Weingut Rüdesheimer Berg Roseneck Alter Reben) 2010은 독일 라인가우(Rheingau)의 뤼데스하임(Rüdesheim)에 있는 베르크 로즈넥 포도원에서 자라는 오래된 포도나무(Alter Reben)에서 수확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드라이 화이트 와인입니다. 2. 바인구트 라이츠독일 라인가우에 있는 바인구트 라이츠는 1744년의 문헌에 등장할 만큼 유서 깊은 와이너리입니다. 1985년 조세프(Josef)의 뒤를 이어 요하네스(Johaness)가 와이너리 경..

[오스트리아] 레몬, 사과, 복숭아, 흰꽃, 페트롤 - Loimer Langenlois Steinmassl Riesling 2007

바인구트 로이머(Weingut Loimer)의 랑겐로이스 스타인마슬 리슬링(Langenlois Steinmassl Riesling) 2007은 도나우 강의 지류인 캄프(Kamp) 강이 흐르는 캄프탈(Kamptal) DAC의 랑겐로이스 마을에 있는 스타인마슬 포도밭에서 수확한 리슬링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오스트리아 최고의 화이트 와인 생산자 중 하나로 이름 높은 바인구트 로이머는 오스트리아 북동부의 캄프탈 DAC에서 캄프탈 DAC과 캄프탈 DAC 레제르브(Reserve), 에르스테 라게(Erste Lage) 등급의 다양한 와인을 생산합니다. 2002년에 독일의 유명한 와인 평가지인 팔스타프(Falstaff)에서 "올해의 와인 생산"자로 선정했을 만큼 뛰어난 생산자이면서 비교적 가..

[독일] 리슬링 - 추운 북국의 향기롭고 강인한 귀부인 (재업)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와인을 만들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선택한 포도가 리슬링(Riesling)이었습니다. 중국과 일본에서 와인을 만들려고 시도했을 때 고른 포도도 역시 리슬링이었습니다. 한국과 중국에서 양조용 포도로 리슬링을 선택한 것은 리슬링이 추운 날씨에도 강건하게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리슬링의 뿌리는 영하 20℃의 추위도 견디는 강한 내한성이 있어서 겨울 날씨가 매서운 독일에서 주로 재배하지만, 호주의 일부 지역에서도 훌륭한 리슬링 와인이 나옵니다. 1. 리슬링의 특성 1) 리슬링과 변종 품종 독일의 와인 학자들은 리슬링을 바탕으로 많은 변종을 만들었습니다. 만생종인 리슬링은 완전히 익으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독일의 쌀쌀한 가을 날씨를 생각할 때 포도 수확 시기는 늘 문제였기 때문..

[마리아쥬] 리슬링 아우스레제 (Riesling Auslese)와인과 떡볶이

1. 매운 음식과 와인의 마리아쥬 일반적으로 매운맛은 와인과 마리아쥬를 맞추기 어렵습니다. 와인이 발전한 유럽의 식문화에선 매운 음식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죠. 음식과 술은 함께 발전하거든요. 그렇지만 와인의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스타일입니다. 어떤 포도를 사용하느냐, 어떻게 양조하느냐, 얼마만큼 숙성하느냐에 따라 맛과 향이 천차만별로 달라지죠. 우리는 그중에서 매운맛과 어울리는 와인을 찾아내면 됩니다. 고추장이나 칠리소스 같은 매운 재료에는 캡사이신이 들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캡사이신은 화끈거리는 느낌과 자극을 주며 심할 경우 통증을 유발합니다. 레드 와인의 탄닌도 수렴성이 있어서 떫은맛으로 자극을 주죠. 그래서 매운 음식에 풀 바디 레드 와인을 함께 마시면 화끈거리는 떫은맛이라는 이중의 자극을 ..

와인/마리아쥬 2023.05.19

[독일] 유서 깊은 생산자가 만든 균형 잡힌 맛 - Selbach Oster Riesling Brut 2016

1. 셀바흐 오스터(Selbach Oster) 독일 와인의 중심지인 모젤(Mosel)의 중부 지역인 젤티겐(Zeltigen)에 있는 셀바흐 오스터는 1661년부터 와인을 생산해 온 유서 깊은 가족경영 와이너리입니다. 총면적 21헥타르에 달하는 포도밭은 이른바 골든 마일(golden mile)로 불리는 젤티겐부터 베른카스텔 지역까지 넓게 퍼져 있습니다. 셀바흐 오스터의 포도밭은 지중해성 기후지대로 포도나무를 키우기에 좋지만, 포도밭의 60%가 중부 모젤 지역의 특징인 가파른 경사면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래서 와인 평론가들은 극단과 모순의 땅이라고 평가하죠. 정남향인 포도밭의 토양은 미네랄이 풍부한 슬레이트 토양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떼루아의 4대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토양과 기후, 지형, 인적 요소가 모두 ..

[독일] 풍부한 과일 향과 산뜻하고 싱그러운 신맛 - Tesco Finest Steillage Riesling 2011

테스코(Tesco)의 파이니스트 슈타일라게 리슬링(Finest Steillage Riesling) 2011은 독일 모젤(Mosel)강 유역의 포도밭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QbA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테스코 영국의 체슌트(Cheshunt)에 본사를 둔 테스코는 국제적인 식료품과 잡화 소매점입니다. 영업이익으로 전 세계 3위이며, 순수익으로는 월-마트 다음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는 초대형 소매 체인점이죠. 영국에선 전체 식료품 시장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해외 14개국에 진출했으며 말레이시아와 아일랜드, 타이 식료품 시장에서는 최고의 자리에 있죠. 테스코는 "Finest"라는 주문자 생산방식(OEM)의 와인을 판매합니다. 테스코의 유통망으로 대량 판매가 가능해서 다른..

[뉴질랜드] 사과와 복숭아, 미네랄, 페트롤 등의 풍미가 기분 좋게 어우러지는 - Mission Estate Mission Riesling 2016

미션 이스테이트(Mission Estate)의 미션 리슬링(Mission Riesling) 2016은 뉴질랜드 북섬의 헉스 배이(Hawke’s Bay)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1838년 충실한 신앙심과 함께 약간의 와인을 들고 뉴질랜드로 건너온 프랑스 선교사 단체는 13년 뒤인 1851년 뉴질랜드 북섬 헉스 베이에 미션 이스테이트를 설립했습니다. 선교사들은 포도를 길러서 성찬식(聖餐式)에 사용할 와인과 식사용 와인을 만들었고, 1870년에는 초과 생산된 와인을 외부에 판매했죠. 그 당시 미션 이스테이트의 와인은 대부분 드라이 레드 와인이었다고 합니다. 비록 뉴질랜드에 있지만, 미션 이스테이트는 프랑스 와인의 양조 전통을 절대 놓치지 않았습니다..

[독일] 농축한 과즙처럼 진하고 우아한 느낌과 다양하고 맛있는 풍미의 향연 - 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 Deidesheimer Leinhohle Riesling Spatlese 2006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의 다이데스하임 라인훌러 리슬링 슈패트레제(Deidesheimer Leinhöhle Riesling Spätlese) 2006은 독일 팔츠(Pfalz)의 다이데스하임(Deidesheime) 지역에 있는 라인훌러 포도밭에서 재배한 리슬링 포도로 만든 콸리테츠바인 미트 프라디카트(Qualitätswein mit Prädikat, QmP)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은 우리 말로 바꾸면 "폰 바세르만-요르단 박사의 비밀 조언 포도주 양조장"쯤 됩니다. 재미난 이름이네요. 이 와이너리는 국내의 유명 와인 잡지인 와인 ..

[독일] 우아하고 빈틈 없는 구조와 사과와 살구, 모과 같은 과일 향 - 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 Deidesheimer Herrgottsacker Riesling Trocken 2006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의 다이데스하이머 헤르고타자커 리슬링 트로켄(Deidesheimer Herrgottsacker Riesling Trocken) 2006은 독일 팔츠(Pfalz)의 다이데스하임 지역에서 재배한 리슬링 포도로 만든 콸리테츠바인 미트 프라디카트(Qualitätswein mit Prädikat)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은 우리 말로 바꾸면 "폰 바세르만-요르단 박사의 비밀 조언 포도주 양조장"쯤 됩니다. 재미난 이름이네요. 이 와이너리는 국내의 유명 와인 잡지인 와인 리뷰(Wine Review) 2015년 10월 ..

[독일] 쇠처럼 단단한 구조에 짜릿한 신맛을 가진 드라이 리슬링 - 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 Riesling Trocken 2006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Weingut Geheimer Rat Dr. von Bassermann-Jordan)의 리슬링 트로켄(Riesling Trocken) 2006은 독일의 팔츠(Pfalz) 지역에서 수확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QbA(Qualitä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바인구트 게하이머 라트 닥터 폰 바세르만-요르단은 우리 말로 바꾸면 "폰 바세르만-요르단 박사의 비밀 조언 포도주 양조장"쯤 됩니다. 재미난 이름이네요. 이 와이너리는 국내의 유명 와인 잡지인 와인 리뷰(Wine Review) 2015년 10월 호에 실린 해외 필진 요하임 빈츠 선정 독일 대표 와인 생산자 15에서 1..

[수다] 미국의 리슬링(Riesling)

1. 미국 리슬링의 역사미국 리슬링 와인의 역사는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독일계 이민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은 이주하면서 요하니스버그 리슬링(Johannisberg Riesling)이라는 독일 리슬링(Riesling) 포도의 꺾꽂이 가지를 가져왔고, 뉴욕주의 핑거 레이크(Finger Lakes) 지역 일대에 심었습니다. 1857년에는 캘리포니아에도 리슬링이 심어졌고, 1871년에는 캘리포니아 북쪽의 워싱턴주까지 퍼져 나갔죠.2. 지역별 리슬링 와인의 특성뉴욕주의 리슬링 와인은 일반적으로 가볍고 부드러우며 그윽한 풍미가 있습니다. 가볍고 거품이 이는 독특한 질감을 지녀서 역동적이고 원기 왕성한 느낌이 나죠. 와인 당도는 달지 않은 것부터 달콤한 것까지 다양합니다. 뉴욕주에서는 주로 비..

[미국] 신세계와 구세계의 철학과 기술의 결합 - Chateau Ste. Michell Eroica Riesling 2013

샤토 생 미쉘(Chateau Ste. Michell)의 에로이카 리슬링(Eroica Riesling) 2013은 미국 북서부의 워싱턴주에 있는 컬럼비아 밸리(Columbia Valley)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에로이카 미국 워싱턴주 와인의 개척자이면서 거대 와인 그룹인 스팀슨 레인에 속한 샤토 생 미쉘은 도멘 생 미쉘이라는 가성비 뛰어나 스파클링 와인으로 잘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워싱턴주에서 가장 뛰어난 와이너리 중 하나로 스파클링 와인 외에 뛰어난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을 생산합니다. 1999년부터 만들기 시작한 에로이카는 리슬링을 사랑하는 두 명의 와인 명장이 만든 작품입니다. 한 사람은 구세계인 독일의 닥터 루센 에스테이트(Dr. Loosen e..

[미국] 꽤 훌륭한 미국산 스위트 리슬링 와인 - Poet's Leap Botrytis Riesling 2008

포에츠 립(Poet's Leap) 와이너리의 포에츠 립 보트리티스 리슬링(Poet's Leap Botrytis Riesling) 2008은 미국 북서부의 워싱턴주에 있는 콜럼비아 밸리(Columbia Valley)에서 수확한 리슬링 포도로 만든 스위트 와인입니다. 1. 포에츠 립 와이너리 포에츠 립 와이너리는 미국 워싱턴주 링샤도우스 와인(Lingshadows Wine)의 7개 와이너리 중 하나입니다. 포에츠 립 보트리티스 리슬링은 콜럼비아 밸리에 있는 포도밭 네 곳의 떼루아와 포도의 개성을 살려서 만들었습니다. 각 포도밭 이름과 포도 비율, 와인에 제공하는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네트 빈야드(Sonnet Vineyard) : 링샤도우스 소유의 포도밭으로 2004년부터 와인 양조자인 아르민의 자..

[독일] 전통 방식으로 만든 특별한 젝트 - SMW Dichtertraum Riesling Brut 2014

에셈베(SMW, Saar-Mosel-Winzersekt)의 디히터트라움 리슬링 브뤼(Dichtertraum Riesling Brut) 2014는 독일의 모젤(Mosel)강 유역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빈쩌젝트(Winzersekt) 등급의 스파클링 와인입니다. 1. 와인 생산자 에셈베는 1983년에 자르강과 모젤강 일대의 32개 와이너리가 모여서 만든 단체입니다. 현재 모젤와인 협회 명예회장인 아돌프 슈미트(Adolf Schmitt)씨가 모젤강 유역의 트리어(Trier)시에 설립했죠. 독일 스파클링 와인인 젝트(Sekt)은 탱크에서 발효하고 필터로 이스트를 걸러내는 샤르마(Charmat) 방식을 주로 사용하지만, SMW에서는 샴페인이나 까바를 만들 때 사용하는 전통 방식(Metho..

[독일] 기분 좋은 단맛과 훌륭한 산미의 조화, 그리고 페트롤 풍미 - Fritz Haag Brauneberger Juffer Riesling Spatlese 2014

프리츠 하그(Fritz Haag)의 브라우네베르거 유퍼 리슬링 슈패트레제(Brauneberger Juffer Riesling Spatlese) 2014는 독일의 모젤(Mosel) 지방에 있는 브라우네베르거 유퍼 포도밭에서 수확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독일의 고급 와인 등급인 프라디카츠바인(Prädikatwein) 등급 중 슈페트레제(Spatlese)에 속합니다. 1. 프리츠 하그 모젤 고원의 중심부에 있는 프리츠 하그는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현존하는 고문서에는 프리츠 하그의 양조장이 1605년에 두제몬트라는 마을에 있었다고 적혀 있죠. 두제몬트 마을은 1925년에 브라우네베르거로 이름이 바뀝니다. 그 이유는 모젤 와인의 정수를 보여주는 훌륭한 포도밭인 브라우네베르거..

[독일] 새콤 달콤, 매콤한 요리에 딱 맞는 - Weinhaus Schloss Kolenz Riesling Kabinett Urziger Schwarzlay 2010

바인하우스 스콜로스 콜렌츠 리슬링 카비네트 우르찌거 슈바르쯔라이(Weinhaus Schloss Kolenz Riesling Kabinett Urziger Schwarzlay)라는 긴 이름을 가진 이 화이트 와인은 독일 모젤(Mosel) 강 주변의 포도밭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들었습니다. 1. 리슬링 리슬링 포도는 독일 라인(Rhine)강 유역이 원산지입니다. DNA 조사 결과 리슬링의 부모 품종 중 하나는 지금은 거의 재배하지 않으나 중세 프랑스와 독일에서 널리 재배했던 구애 블랑(Gouais blanc)입니다. 독일어로는 바이써 허니쉬(Weißer Heunisch)라고 하죠. 또 하나의 포도는 야생 포도와 트라미너(Traminer) 포도의 교배종으로 추측되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

[미국] 미국산 리슬링 와인의 발전을 보여주는 - Chateau Ste Michelle Riesling 2010

샤토 생 미쉘 리슬링(Chateau Ste Michelle Riesling) 2010은 미국 서북부의 워싱턴주에 있는 콜럼비아 밸리(Columbia Valley)에서 재배한 리슬링(Riesling)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샤토 생 미쉘 미국 워싱턴주 와인의 개척자이면서 거대 와인 그룹인 스팀슨 레인에 속한 샤토 생 미쉘은 국내에선 도멘 생 미쉘이라는 가성비 뛰어난 스파클링 와인으로 잘 알려진 곳입니다. 그러나 샤토 생 미쉘은 미국 와인의 기준을 세운 최초의 워싱턴주 프리미엄 와인 브랜드로 스파클링 와인 뿐만 아니라 뛰어난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을 생산합니다. 1934년에 설립된 샤토 생 미쉘은 1967년부터 유럽종 포도로 다채로운 워싱턴주 와인을 선보였습니다. 워싱턴주 AVA 등급 체계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