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콸리테츠바인 2

[독일] 장미와 산딸기 향을 풍기는 발랄한 와인 - Weingut Leitz Assmannshäuser Höllenberg Spätburgunder trocken 2013

목차1. 개요2. 슈패트부르군더3. 아스만스호이저 횔렌베르크4. 와인의 맛과 향5. 와인과 어울리는 음식 1. 개요바인구트 라이츠(Weingut Leitz)의 아스만스호이저 횔렌베르크 슈패트부르군더 트로켄(Assmannshäuser Höllenberg Spätburgunder trocken) 2013은 아스만스호이저 횔렌베르크 포도원에서 재배한 슈패트부르군더 포도로 만든 드라이 레드 와인입니다. 2. 슈패트부르군더슈패트부르군더는 프랑스의 피노 누아(Pinot Noir) 포도를 독일에서 부르는 명칭입니다. 영어로 바꾸면 "Late Burgundian"이며 "(익는 것이) 늦은 부르고뉴" 정도의 뜻이 되죠. 피노 누아가 빨리 익는 조생종 품종인데도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슈패트부르군더보다 더 일찍 익는 프루..

[독일] 콸리테츠바인 베슈팀터 안바우게비트(QbA: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등급

경기불황으로 와인 시장의 성장세가 많이 꺾였습니다. 표면적으로는 해마다 조금씩 성장했지만, 식약청의 와인 검사 비용과 창고 임대료, 매장 운영비 같은 기타 부대비용이 엄청나게 늘어나 수입사, 도매상, 소매상 할 것 없이 실질적으론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죠. 게다가 대기업이 자본과 유통망을 등에 업고 와인 시장에 들어오면서 특별한 제품이나 관리 능력이 없는 중소기업체는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과 별개로 와인 애호가의 숫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온라인 와인 동호회의 활동은 약간의 부침만 있을 뿐 더 활발해졌으며, 와인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관심도 역시 증가했습니다. 예전만큼 와인을 어려워하거나 부담스럽게 느끼지도 않고요. 다만 불황으로 주머니 사정이 어렵다 보니 와인바나 레스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