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와인/와인 시음기 1570

[프랑스] 샤르도네의 명산지에서 탄생한 깨끗하고 산뜻한 맛의 싱글 빈티지 샴페인 - Pierre Moncuit Cuvée Hugues de Coulmet Blanc de Blancs

1. 삐에르 몽뀌 뀌베 으그 드 쿠르메 블랑 드 블랑 삐에르 몽뀌 뀌베 으그 드 쿠르메 블랑 드 블랑(Pierre Moncuit Cuvée Hugues de Coulmet Blanc de Blancs)은 삐에르 몽뀌의 샴페인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제품이지만, 삐에르 몽뀌 샴페인의 특성은 거의 다 갖췄습니다. 레이블에 표시는 없지만, 단일 빈티지 샴페인이며 오로지 샤르도네Chardonnay)만으로 만든 블랑 드 블랑이죠. 다만 삐에르 몽뀌의 다른 샴페인은 메스닐 쉬르 오제르의 포도밭에서 수확한 샤르도네로 만들지만, 이 샴페인은 세자르 마을의 포도를 일부 섞습니다. 샴페인은 웬만한 음식은 모두 어울리므로 메뉴를 선택할 때 레드나 화이트 와인만큼 까다롭지 않습니다. 하지만 베이스 와인이 화이트 와인이므로 역시..

[이탈리아] 매력적인 신맛에 가득 고이는 침, 담백한 치즈 피자의 절친이랄 수 있는 - Castello Banfi Chianti Classico 2006

까스텔로 반피의 끼안티 끌라시코 2006은 토스카나(Toscana)에서 예로부터 사용해 온 산지오베제(Sangiovese) 100%로 만들었고 다른 포도는 전혀 넣지 않은 DOCG 와인입니다. 다른 끼안티 끌라시코 와인은 까나이올로(Canaiolo) 포도를 최대 10%까지 함께 섞는 일이 많지만, 이 와인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죠. 물론 DOC 규정에 어긋나는 것은 당연히 아닙니다. 1. 와인 양조와 맛과 향 수확 후 전통적인 방식으로 8일에서 10일가량 알코올 발효 하면서 포도 껍질과 씨에서 색소와 탄닌을 추출했습니다. 발효가 끝난 다음 7개월간 프랑스산 오크통에서 숙성했고, 이듬해 봄에 와인을 병에 넣었죠. 이탈리아 전통 방식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특별한 양조 방법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필터로 여과..

[프랑스] 여러 음식에 두루 잘 어울리는 깔끔하고 깨끗한 맛 - Nicolas Rouget Bourgogne Aligote Les Genevrays Blanc 2006

니꼴라 후제(Nicolas Rouget)의 부르고뉴 알리고떼 레 제네브레이 블랑(Bourgogne Aligote Les Genevrays Blanc) 2006은 레이블에도 나와 있듯 알리고떼(Aligote)로 만들었습니다. 포도를 수확한 포도밭 이름은 "레 제네브레이(Les Genevrays)입니다. 1. 니꼴라 후제 부르고뉴 알리고떼 레 제네브레이 블랑 니꼴라 후제는 부르고뉴의 유명한 와인 생산자인 에마누엘 후제(Emmanuel Rouget)의 아들입니다. 에마누엘 후제는 전설적인 와인 생산자인 앙리 자이에(Henri Jayer)의 조카이죠. 원래 에마누엘 후제가 와인을 만들고 판매했지만, 슬슬 아들에게 와인 양조를 넘겨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니꼴라 후제가 만드는 부르고뉴 알리고떼 레 제네브레이..

[스페인] 아로마의 교향곡, 그 문구에 정말 잘 어울리는 화려하고 다양한 향 - Torres Atrium Chardonnay 2008

토레스(Torres)의 아트리움 샤르도네(Atrium Chardonnay)는 스페인 뻬네데스(Penedes) 지방에서 재배한 샤르도네(Chardonnay)를 85% 이상 사용하고 빠레야다(Parellada) 15% 이하로 넣어서 만드는 DO 등급 화이트 와인입니다. 1. 토레스 아트리움 토레스의 아트리움 와인들은 스페인 페네데스의 토레스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듭니다. "향의 교향곡(Symphony of aromas)"이라는 표어가 말하듯 특별히 향의 조화에 치중해서 만든 와인들이죠. 그렇다면 맛은 평범한가? 그렇진 않습니다. 맛도 좋지만, 향에 더 신경을 썼다는 이야기이죠. 아트리움 메를로 2007 빈티지가 "구이아 캄프사(Guia Campsa) 2009"에서 92점을 받았을 정도이니 우수한 품질은..

[프랑스] 메를로의 과일 향이 넘쳐나며 균형 잡힌 맛을 지닌 - Chateau Laborde 2005

샤토 라보르드(Chateau Laborde) 2005는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라랑-드-뽀므롤(Lalande-de-Pomerol)에서 수확한 메를로(Merlot) 70%에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0%와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0%를 섞어서 만드는 AOC 등급 와인입니다. 1. 샤토 라보르드 샤토 라보르드는 라랑-드-뽀므롤의 북서쪽에 있습니다. 샤토의 설립 연도가 정확히 1996년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소유주가 이때부터 샤토를 관리해 왔으므로 비교적 신생 샤토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샤토의 포도밭이 산허리에 있어서 토양의 이점과 배수, 햇빛을 최대로 활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은 곧 와인의 품질로 이어지죠. 토양엔 진흙(Clay)과 ..

[이탈리아] 레이블만큼 검은 과일 향이 진하게 풍기는 - La Piuma Montepulciano d'Abruzzo 2009

라 퓨마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쪼(La Piuma Montepulciano d'Abruzzo) 2009는 이탈리아 중부 아부르쪼(Abruzzo) 주에서 기른 몬테풀치아노(Montepulciano) 포도로 만드는 DOC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라 퓨마 라 퓨마(La Piuma)를 비롯한 10개 브랜드를 가진 MGM 몬도 델 비노(Mondo del Vino) 와이너리는 1991년에 설립했습니다. 연간 병 와인 2천5백만 병, 3ℓ 박스 와인 4백50만 개를 생산할 만큼 엄청난 규모의 와이너리로 수출 대상국도 40여 개에 달하죠. 라 퓨마 브랜드는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쪼 외에 오르비에또(Orvieto), 끼안티(Chianti), 페코리노(Pecorino), 산지오베제 디 로마냐(Sangiovese di Ro..

[호주] 블랙 후르츠, 유칼립투스, 오크. 매력적인 바로싸 쉬라즈 와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 St Hallet Blackwell Shiraz 2004

세인트 할렛 블랙웰 쉬라즈(St Hallet Blackwell Shiraz) 2004는 사우쓰 오스트레일리아(South Australia) 바로싸 존(Barossa Zone) 의 바로싸 밸리(Barossa Valley)에서 재배한 쉬라즈(Shiraz)로 만드는 레드 와인입니다. 1. 세인트 할렛 1944년에 호주 와인의 상징적인 생산지인 바로싸 지구의 중심지에 설립된 세인트 할렛 와이너리는 훌륭한 품질의 와인을 계속 생산해 왔습니다. 와인에 사용하는 포도는 모두 바로싸 지구에서 재배한 것으로 와인 레이블에도 이러한 사실이 잘 나타나 있죠. 바로싸 밸리의 풍부하고 다양한 토양은 쉬라즈 포도에 풍성하고 복합적이면서 훌륭한 풍미가 생기도록 해줍니다. 이런 뛰어난 포도로 만들어서 흥미 있고 뛰어난 구조감을 가진..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 날라온 샤도네이의 맛, 여기에 더해진 쎄미용의 느낌? - Bodega Norton Clasico Blanco 2009

보데가 노통에서 생산하는 클라시코 블랑코(Clasico Blanco)는 홈페이지를 보면 아르헨티나에서만 유통하는 것으로 나왔는데, 어쩐 일인지 수입되었네요. 아르헨티나 멘도사(Mendoza)의 루한 데 꾸요(Lujan de Cuyo)에서 재배한 샤도네이(Chardonnay)로 만들었지만 100% 샤도네이는 아니고 쎄미용(Semillion)을 조금 섞었습니다. 혼합 비율은 알 수가 없습니다. 1. 와인 양조 샤도네이에 쎄미용을 섞은 와인은 호주에서 많이 만듭니다. 쎄미용을 첨가하는 이유는 와인에 산미와 산뜻한 감귤류 향을 더해주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샤도네이라는 인기 품종을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면서 별로 유명하지 않은 포도를 함께 써서 생산 가격을 낮추려는 것이기도 하죠. 다른 생산국에서도 이런 방법을 ..

[프랑스] 정보를 도통 찾을 수 없는 이 와인의 정체는 무엇일까? - Chateau Malausanne Demazel 2009

마트에서 1만 원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드마젤(Demazel)은 정체를 알 수 없는 레드 와인입니다. 인터넷에서 와인에 관한 정보를 찾아봐도 별다른 내용을 찾을 수가 없죠. 메를로(Merlot)와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으로 만드는 보르도 AOC 등급의 레드 와인이라는 것만 확실합니다. 1. 드마젤의 정체 국내에서 와인 품목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가장 많은 웹사이트 중 하나인 와인21닷컴에서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만 얻을 수 있을 뿐입니다. • 생산국 : 프랑스(France) • 생산지역 : 보르도(Bordeaux) • 생산자 : 샤토 라 로마린(Chateau La Romarine) • 포도품종 : Cabernet Sauvignon, Merlot • 알코올 : 13.5 ..

[미국] 포도밭과 와인과 멋진 분위기를 찾는 와인 애호가들을 좋아하는 사나이가 만드는 - B.R.Chon Carneros Chardonnay 2005

B.R.콘 카네로스 샤도네이(B.R.Chon Carneros Chardonnay) 2005는 샤도네이(Chardonnay) 포도의 명산지인 카네로스(Carneros)에 있는 B.R.콘 와이너리의 산지아코모(Sangiacomo)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들었습니다. 알코올 발효 후에 새 프랑스산 오크통에서 8개월 동안 숙성해서 토스트와 바닐라, 헤이즐넛 풍미를 가미했죠. 와인 생산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1. 와인의 맛과 향 색은 맑고 깨끗하며 꽤 진한 레몬색입니다. 향은 깨끗하며 기운도 제법 강합니다. 시트러스와 오렌지, 오렌지 기름, 복숭아 같은 스톤 후르츠 향 외에 미국 샤도네이 와인의 특징인 멜론과 파인애플 같은 열대과일 향이 가득합니다. 오크 숙성을 통해 배인 오크와 ..

[남아공] 살짝쿵 단 맛이 도는 마시기 편한 화이트 와인 - Distell ObiKWA Natural Sweet NV

오비콰 내추럴 스위트(ObiKWA Natural Sweet)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스텔렌보쉬(Stellenbosch)에 있는 디스텔(Distell) 사의 아담 타스 셀라(Adam Tas cellar) 와이너리에서 슈냉 블랑(Chenin Blanc)과 콜롱바(Colombar) 포도로 만드는 스위트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오비콰 오비콰라는 이름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타운(Cape town)에 거주했던 옛 부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그들의 인내와 창조 정신을 찬미하는 정신이 깃들었다고 합니다. 동시에 이 와인은 타조의 강인한 모습도 상징합니다. 타조 알은 아프리카에서 오랫동안 물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되었기 때문이죠. 소중한 물을 저장한 타조 알처럼 포도나무에서 얻어낸 소중한 천연 과즙인 와인을 저..

[프랑스] 위대한 왕이 즐겨 마셨던 위대한 화이트 와인 - Domaine Bonneau du Martray Corton-Charlemagne Grand Cru 2005

도멘 보노 뒤 마흐트레이(Domaine Bonneau du Martray)는 부르고뉴 꼬뜨 드 본(Côte de Beaune)의 뻬르낭 베르즐레스 마을에 있는 포도 재배자이며 와인 생산자입니다. 부르고뉴에서 그랑 크뤼 와인만 생산하는 유일한 도멘으로 꼭똥-샤를마뉴(Corton-Charlemagne)에서 가장 넓은 9.5헥타르의 포도밭을 가진 도멘이기도 하죠. 이 와인은 꼭똥-샤를마뉴에서 재배한 샤르도네로 만드는 그랑 크뤼(Grand Cru) 화이트 와인입니다. 1. 도멘 보노 뒤 마흐트레이 현재 보노 뒤 마흐트레이를 관리하는 소유주는 1994년에 아버지로부터 도멘을 물려받은 쟝-샤를 드 라 모리니에르(Jean-Charles de la Moriniere)입니다. 쟝-샤를은 바이오다이나믹(Biodynamic..

[독일] 로마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이 깃든 독일 와인 - Piesporter Goldtrapfchen Riesling-Spatlese 2007

모젤란드(Moselland)의 피스포터 골드트룁피헨 리슬링 슈패트레제(Piesporter Goldtropfchen Riesling Spatlese) 2007은 프라디카츠바인(Pradikatwein, 등급와인) 중에서 슈패트레제(Spatlese)에 속하는 와인입니다. 슈패트레제는 예전에는 QmP(Qualitatswein mit Pradikat, 특별 품질 표기의 고급 와인)로 불렀던 독일 와인 최고 등급의 하나입니다. 1. 프라디카츠바인(Pradikatwein) 프라디카츠바인은 좀 더 세분화한 지역의 단일 지역, 단일 지구에서 생산한 포도로 만드는 와인 중에서 품질을 엄선해 선정합니다. 와인은 최소 9.5%의 천연 알코올을 함유해야 하며 발효할 때 찹탈리제이션(chaptalization, 보당)은 허용하지..

[미국] 그릴에 고기와 채소를 구워 먹을 때 잘 어울리는 - Robert Mondavi Woodbridge Cabernet Sauvignon 2009

로버트 몬다비 우드브리지 까베르네 소비뇽(Robert Mondavi Woodbridge Cabernet Sauvignon) 2009는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의 우드브리지 와인 중 하나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California)의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77%에 쁘띠 시라(Petit Syrah) 7%, 시라(Syrah) 6%, 바르베라(Barbera) 3%, 메를로(Merlot) 2%, 기타 품종 5%을 넣어서 만들었습니다. 1. 로버트 몬다비 우드브리지 까베르네 소비뇽 2009 로버트 몬다비 우드브리지 까베르네 소비뇽 2009의 레이블에는 "Cabernet Sauvignon"이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사실 100% 까베르네 소비뇽으로 만든 것은 아닙니다. 까베르네 소비뇽은 7..

[이탈리아] 글레라 포도로 만들어 무르익은 청사과 향이 가득한 프로세코 - Astoria Valdobbiadene Prosecco Superiore DOCG

아스토리아(Astoria) 와이너리의 발도비아데네 프로세코 수페리오레(Valdobbiadene Prosecco Superiore) DOCG는 이탈리아 베네토(Veneto) 주의 발도비아데네 수페리오레(Valdobbiadene Superiore) 지역에서 재배한 글레라(Glera) 포도 100%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입니다. 1. 아스토리아 와이너리 아스토리아 와이너리는 1987년에 설립했습니다. 프로세코로 유명한 발도비아데네 지역과 코네글리아노(Conegliano) 지역의 핵심인 레프론톨로(Refrontolo) 마을에 40헥타르 규모의 드 브륀 농장(Farm De Brun)을 가졌으며 그곳에서 재배한 포도로 DOC 등급의 와인을 생산합니다. 아스토리아 와이너리는 우수한 시설로 와인을 생산하며 베네토 지역..

[프랑스] 남부 론 화이트 와인의 풍부한 향과 넘치는 힘 - Chateau Beauchene Grande Reserve Cotes-du-Rhone blanc 2009

샤토 보쉥 그랑 리저브 꼬뜨-뒤-론 블랑(Chateau Beauchene Grande Reserve Cotes-du-Rhone blanc) 2009는 프랑스의 남부 론(Southern Rhone)에서 재배하는 다섯 가지 청포도를 혼합해서 만드는 AOC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포도 비율은 매년 달라지며, 2009 빈티지는 마르산(Marsanne) 55%, 루산(Roussanne) 27%, 끌레레뜨(Clairette) 17%, 그르나슈 블랑(Grenache Blanc)과 부르블랑(Bourboulenc) 1%를 사용했습니다. 1. 샤토 보쉥(Chateau Beauchene) 베르나드(Bernard) 가문이 설립한 샤토 보쉥은 프랑스 대혁명 전부터 와인을 만들어 온 유서 깊은 와이너리입니다. 현재 소유주인 ..

[스페인] 검은 과일과 피망, 오크 향을 느낄 수 있는 매끈한 맛의 와인 - Barahonda Roble Monastrell-Syrah 2008

보데가 세뇨리오 데 바라온다(Bodega Señorio de Barahonda)의 바라온다 로블 모나스트렐-시라(Roble Monastrell-Syrah)는 스페인 무르시아(Murcia)의 예끌라(Yecla) 지역에서 재배하는 모나스트렐(Monastrell)과 시라(Syrah) 포도를 7:3으로 섞어서 만드는 DO 등급의 레드 와인입니다. 1. 보데가 세뇨리오 데 바라온다 보데가 세뇨리오 데 바라온다는 스페인 무르시아의 예끌라에 있는 가족 경영 와이너리입니다. 바라온다의 역사는 19세기 중엽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설립자인 뻬드로 깐델라 소리아노(Pedro Candela Soriano)는 원래 질그릇을 구워서 팔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가마 인근에 조그만 포도밭을 가꾸고 와인을 만들어서 팔기 시작했..

[이탈리아] 하얀 석회암 위에서 태어나 미네랄과 상큼한 과일 풍미를 가진 - Bava Thou Bianc Piemonte Chardonnay 2007

또우 비앙끄 피에몬테 샤르도네(Thou Bianc Piemonte Chardonnay) 2007은 바바 컴퍼니(Bava Company)가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주에서 재배한 샤르도네 포도로 만드는 DOC 등급의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이탈리아의 국제 포도 품종 이탈리아는 전국의 포도밭에서 약 1천 종의 토종 포도를 재배할 만큼 다양한 포도를 키우는 나라입니다. 대표적인 토종 포도로는 흑포도인 네비올로(Nebbiolo), 꼬르비나(Corvina), 산지오베제(Sangiovese), 알리아니꼬(Aglianico), 프리미티보(Primitivo), 네로 다볼라(Nero d'Avola) 등이 있고 청포도는 가르가네가(Garganega), 피아노(Fiano) 등이 있습니다. 이런 토종 포도들은 국제..

[남아공] "와인은 단순한 것이어야 한다. 그것은 인생에 즐거움을 더해줘야 한다." - Kumala Cabernet Sauvignon Shiraz 2009

쿠마라(Kumala) 와이너리의 까베르네 소비뇽 쉬라즈 2009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웨스턴 케이프(Western Cape)에서 재배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과 쉬라즈(Shiraz) 포도를 반반씩 사용해서 만드는 레드 와인입니다. 1. 좋은 와인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의 대답은 몇 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보르도처럼 유명한 생산지에서 만든 높은 등급의 와인이거나, 이름난 와인 생산자가 만들거나, 유기농으로 만들거나, 혹은 비싸거나 등등... 하지만 "맛있는 와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사실 정답이 없다고 봅니다. 내 입에 맞는 와인이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와인일 테니까요. 와인 매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와인 중 하나가 미국산 콩코드(Concord) 포도로 만드는 달착지..

[이탈리아] 나무 그늘 아래서 노을을 바라보며 마실 때 선택하고 싶은 와인 - Marcato Soave i Prandi DOC 2009

마르까또(Marcato) 와이너리에서 만든 소아베 아이 프란디(Soave I Prandi) 와인은 이탈리아 베네토 주의 소아베(Soave) DOC에서 재배한 가르가네가(Garganega) 70%에 트레비아노 디 소아베(Trebbiano di Soave)와 샤르도네(Chardonnay)를 30% 넣어서 만드는 화이트 와인입니다. 1. 이탈리아 화이트 와인 수천 년의 와인 역사가 있는 나라답게 이탈리아는 곳곳에 유명한 특산 와인이 있습니다. 이제는 한국 주당(酒黨)들에게도 익숙한 끼안티(Chianti)와 바롤로(Barolo) 같은 와인이 대표적이죠. 이탈리아는 레드 와인뿐만 아니라 화이트 와인도 유명한 것이 많습니다. 국내에 잘 알려진 와인으로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① 가비(Gavi) : 이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