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와인 종류 39

[종류] 모노폴(Monopole) (재업)

1. 모노폴이란? 'Monopole'은 '독점’이라는 뜻으로 영어의 Monopoly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부르고뉴 와인의 라벨에서 종종 볼 수 있죠. 부르고뉴는 하나의 끌리마(밭)를 여러 도멘이나 네고시앙이 나눠 가진 일이 흔합니다. 예를 들어 그랑 크뤼(Grand Cru)인 끌로 드 부조(Clos de Vougeot)는 50헥타르의 포도밭을 90여 명의 소유주가 나눠 갖고 있죠. 보르도의 샤토는 상대적으로 소유하는 포도밭이 큽니다. 1855 1등급인 샤토 무통 로칠드(Château Mouton Rothschild)는 90헥타르, 같은 1등급인 샤토 라투르(Château Latour)는 78헥타르의 포도밭을 보유하고 있죠. 이렇게 부르고뉴의 포도밭이 잘게 나뉜 것은 역사적인 사건 때문입니다. 1789년..

[종류] 포도는 식물 아니었나요? 비건 와인(Vegan wine)이 따로 있는 이유

‘Vegan’은 동물권(動物權, Animal rights)을 이유로 육식을 반대하고 채식을 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단순히 고기를 먹지 않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동물로부터 얻는 달걀과 우유, 벌꿀도 먹지 않으며, 동물 실험을 거쳐 만들거나 동물의 털과 가죽을 쓴 제품도 사용하지 않죠. 그런데 식물인 포도로 만드는 와인과 비건이 무슨 상관이냐고요? 와인을 만드는 과정에서 동물성 재료를 사용하는 일이 있기 때문입니다. 1. 와인 양조에 사용되는 동물성 재료 포도를 으깨고 발효하면서 껍질과 씨에서 탄닌과 색소와 각종 성분을 뽑아내고, 오크통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하면서 와인에는 앙금이 생깁니다. 앙금의 성분은 효모와 효모 사체, 포도 껍질의 추출물, 화학반응에 의한 결정체 등으로 몸에는 해롭지 않습니..

[종류] 스트로 와인(Straw wine)

스트로 와인, 또는 건포도 와인은 말려서 당분이 농축된 포도로 만드는 와인입니다. 수분을 제거하고 당분이 농축된 포도즙을 쓴다는 점에선 아이스 와인(Ice wine)과 비슷하지만 따뜻한 지역에서 만들기 좋은 방식입니다. 1. 스트로 와인이란? 스트로 와인은 전통적으로 밀짚으로 만든 깔개 위에 올려놓고 햇빛에 말린 포도로 만듭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덮개를 씌우거나, 지붕 위에서 말리거나, 밀짚 대신 현대적인 선반을 사용하기도 하죠. 수확하지 않고 포도나무에서 충분히 말린 후에 딴 포도로 만드는 것도 있습니다. 달거나 매우 단 스트로 와인은 농축도나 당도가 쏘테른(Sauternes)과 비슷하며 보관 기간이 매우 깁니다. 포도를 말리면서 부피가 줄어들고 생산 방식이 노동집약적이어서 가격은 매우 비싼 편이죠. ..

[종류] 프란치아꼬르타(Franciacorta)

프란치아꼬르타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지역의 브레시아(Brescia) 지방에서 생산하는 스파클링 와인입니다. 1967년에 지정된 프란치아꼬르타 DOC에선 스파클링 와인뿐만 아니라 일반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도 생산하지만, 1995년에 지정된 DOCG 등급은 지역 안에서 생산된 스파클링 와인에만 적용됩니다. 1. 프란치아꼬르타의 역사 국내에서는 프란치아꼬르타의 스파클링 와인만 유명하지만, 프란치아꼬르타 지방의 일반 와인도 역사가 유구합니다. 로마 시대의 베르길리우스나 대 플리니우스도 이곳의 와인을 언급했고, 1277년의 브레시아 시의회 서류에는 "프란짜쿠르타(Franzacurta)"라는 와인 명칭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재미있게도 1957년에 귀도 베를루키(Guido Berlucchi)가 "피노 디 프란치아..

[종류] 메리티지 와인(Meritage Wine)

메리티지는 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원산지 명칭 보호(Appellation d’Origine Protégée) 규정을 침해하지 않는 보르도 스타일의 레드와 화이트 와인을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자기 와인을 "Meritage" 와인으로 등록하려는 와인 생산자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메리티지 연합회(The Meritage Alliance)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메리티지 회원은 주로 미국 와이너리들이지만, 점점 다른 와인 생산국에서도 회원이 나오고 있습니다. 1. 메리티지의 출현 배경 와인을 비롯한 주류와 담배, 총기, 폭발물에 관한 캘리포니아의 법령에 따라 캘리포니아 와인은 와인에 사용한 포도 품종을 상표(제품명)의 일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

[종류] 가라지 와인(Garage Wine)

"뱅 드 가라쥬(Vins du garage)", 또는 "가라지 와인(Garage wine)"은 보르도에서 생산하는 혁신적인 와인을 말합니다. 전통적인 스타일의 보르도 레드 와인은 탄닌이 많고, 마시기 가장 좋은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와인 생산자는 이에 반발하여 좀 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풍미가 나오는 와인을 개발했고, 이들이 만든 와인을 가라지 와인이라고 부릅니다. "Vins du garage"와 "Garagistes(차고)"라는 용어는 프랑스 작가인 니콜라스 베이비(Nicholas Baby)와 미쉘 베딴(Michel Bettane)이 처음 붙였습니다.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은 가라지 와인 생산자 대부분이 소규모라 와인 생산량이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치 ..

[종류] 클라레(Claret)

클라레(Claret)는 영국에서 보르도 레드 와인을 부를 때 자주 쓰는 명칭입니다. 프랑스어 "클레레(Clairet)"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르도에서 생산하는 색이 연한 레드 와인이나 색이 진한 로제 와인을 일컫는 말이죠. 클레레는 보르도가 속한 아끼텐(Aquitaine) 지방이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영국 왕의 통치 아래에 있는 동안 영국으로 줄곧 수출되었고, 점차 영국식으로 발음이 바뀌면서 클라레가 되었습니다. 영국의 해군 대신이었던 사무엘 피입스(Samuel Pepys)의 말에 따르면 샤토 오-브리옹(Chateau Haut-brion)이 런던에서 최초로 기록된 클라레 와인이라고 합니다. 미국 와인 생산자들은 때때로 보르도 스타일로 만든 레드 와인의 레이블에 클라레라는 단어를 넣곤 하며 가장 이상적인..

[종류] 보르도 블랑 섹(Bordeaux Blanc Sec, Vin Blanc Sec Bordeaux)

1. 보르도 블랑 섹? 보르도는 진한 과일과 오크 향이 조화를 이루는 묵직한 레드 와인과 노블 롯(Boble Rot)에 걸린 포도로 만드는 꿀처럼 달콤한 스위트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잘 알려진 두 와인 사이에서 자기 스타일을 가진 멋진 와인이 하나 더 있죠. 보르도 블랑 섹이라고 부르는 화이트 와인입니다. 블랑은 영어로 White, 섹(Sec)은 영어로 Dry를 뜻하는 단어로 보르도 블랑 섹은 보르도에서 만드는 달지 않은 화이트 와인을 뜻합니다. 프랑스 와인 법에선 보르도 블랑(Bordeaux Blanc)으로 분류하고 보통 레이블에 'Sec', 또는 'Dry Sec'이라는 단어를 넣어서 달지 않은 맛이란 걸 표시하죠. 2. 보르도 블랑 섹의 생산량과 생산지 보르도의 드라이 화이트 와인 생산..

[종류] 화이트 진판델(White Zinfandel)

화이트 진판델은 달콤한 맛이 나는 분홍빛 와인입니다. 차갑게 해서 과일이나 디저트와 함께 먹으면 아주 좋죠. 미국에서 널리 사랑받는 화이트 진판델은 다음과 같은 역사를 가졌습니다. 1869년에 캘리포니아 로다이(Lodi)의 엘 피날 와이너리(El Pinal Winery)에서 진판델로 만든 로제 와인이 처음 나왔습니다. 캘리포니아의 포도 재배 감독관이면서 훗날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Cresta Blanca Winery)를 세웠던 찰스 웻모어(Charles Wetmore)는 엘 피날 와이너리의 로제 와인을 마셔보고 화이트 와인용 포도로서 진판델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죠. 그러나 이때 만들어진 화이트 진판델은 시장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고, 금주법 시대가 도래하면서 자취를 감췄습니다. Red Wine..

[종류] 컬트 와인(Cult Wine)

1. 컬트 와인 "Cult"라는 단어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습니다. 1. (생활 방식・태도・사상 등에 대한) 추종 2. (기성 종교가 아닌 종교의) 광신적 종교 집단 3. (종교적인) 제례 이 단어는 소수의 열광적인 팬을 가진 영화를 뜻하는 "컬트 무비(Cult Movie)"라는 용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죠. 와인 중에도 이처럼 매니아 층을 거느린 와인이 있습니다. 컬트 무비처럼 "컬트 와인"이라고 부르는 와인들로 뛰어난 맛과 향을 느껴보려고 엄청난 비용을 기꺼이 지불할 생각이 있는 헌신적인 열성 팬들을 거느리고 있죠. 굉장히 비싼 가격으로 팔리는 컬트 와인으로는 캘리포니아의 스크리밍 이글(Screaming Eagle), 호주의 펜폴즈 그랜지(Penfolds Grange), 이탈리아의 가라르디 떼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