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순_麴醇의 자_字는 자후_子厚 1이다. 그 조상은 농서_隴西 2 사람이다. 90대조_九十代祖인 모_牟 3가 후직_后稷 4을 도와 뭇 백성들을 먹여 공이 있었다. '시경_詩經'에,
"내게 밀과 보리를 주다." 5
한 것이 그것이다. 모_牟가 처음 숨어살며 벼슬하지 않고 말하기를,
"나는 반드시 밭을 갈아야 먹으리라."
하여, 밭에서 살았다. 임금이 그 자손이 있다는 말을 듣고 조서_詔書를 내려 안거_安車로 부를 때, 군_郡과 현_縣에 명하여 곳마다 후하게 예물을 보내게 하였다. 신하를 시켜 친히 그 집에 나아가, 드디어 방아와 절구_杵臼 사이에서 교분을 정하였다 6. 화광동진_和光同塵 7하게 되니, 훈훈하게 찌는 기운이 점점 스며들어서 8 온자 9한 맛이 있어 기뻐 말하기를,
"나를 이루어 주는 자는 벗이라 하더니, 과연 그 말이 옳다."
하였다. 드디어 맑은 덕_德으로써 들리니, 임금이 그 집에 정문_旌門 10을 표하였다. 임금을 따라 원구_園丘 11에 제사한 공으로 중산후_中山侯에 봉해졌다. 식읍_食邑은 일만 호_一萬戶이고, 식실봉_食實封 12은 오천 호_五千戶이며, 성_姓은 국씨_麴氏라 하였다. 5세손이 성왕_成王을 도와 사직을 제 책임으로 삼아 태평 성대를 이루었고, 강왕_康王이 위_位에 오르자 점차로 박대를 받아 금고_禁錮 13에 처해졌다. 그리하여 후세에 나타난 자가 없고, 모두 민간에 숨어살게 되었다. 위_魏나라 초기에 이르러 순_醇의 아비 주_酎 14가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서, 상서랑_尙書郞 서막_徐邈 15과 더불어 서로 친하여 그를 조정에 끌어들여 말할 때마다 주_酎가 입에서 떠나지 않았다 16. 마침 어떤 사람이 임금께 아뢰기를,
"막이 주와 함께 사사로이 사귀어, 점점 난리의 계단을 양성합니다 17."
하므로, 임금께서 노하여 막을 불러 힐문 18하였다. 막이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하기를,
"신이 주를 좇는 것은 그가 성인_聖人의 덕이 있삽기에 수시로 그 덕을 마셨습니다."
하니, 임금께서 그를 책망하였다. 그 후에 진_晋이 이어 일어서매, 세상이 어지러울 줄을 알고 다시 벼슬할 뜻이 없어, 유령_劉伶, 완적_阮籍의 무리들과 함께 죽림_竹林에서 노닐며 그 일생을 마쳤다.
순_醇의 기국_器局 19과 도량은 크고 깊었다.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 창파_萬頃蒼波와 같아 맑게 하여도 맑지 않고, 뒤흔들어도 흐리지 않으며, 자못 기운을 사람에게 더해 주었다. 일찍이 섭법사_葉法師 20하였다. 드디어 유명하게 되었으며, 호_號를 국처사_麴處士라 하였다. 공경_公卿, 대부_大夫, 신선_神仙, 방사_方士 21 들로부터 머슴, 목동, 오랑캐, 외국 사람에 이르기까지 그 향기로운 이름을 맛보는 자는 모두가 그를 흠모하여, 성대_盛大한 모임이 있을 때마다 순_醇이 오지 아니하면 모두 다 추연 22하여 말하기를,
"국처사가 없으면 즐겁지가 않다." 23
하였다. 그가 당시 세상에 애중_愛重됨이 이와 같았다.
태위_太尉 산도_山濤가 감식_鑒識이 있었는데, 일찍이 그를 말하기를,
"어떤 늙은 할미가 요런 갸륵한 아이를 낳았는고. 그러나 천하의 창생_蒼生을 그르칠 자는 이 놈일 것이다."
라 하였다. 공부_公府에서 불러 청주 종사_靑州從事를 삼았으나, 격_鬲의 위가 마땅한 벼슬자리가 아니므로, 고쳐 평원 독우_平原督郵를 시켰다. 얼마 뒤에 탄식하기를,
"내가 쌀 닷 말 때문에 허리를 굽혀 향리_鄕里 소아_小兒에게 향하지 않으리니, 마땅히 술 단지와 도마 사이에서 서서 담론할 뿐이로다."
라고 하였다. 그 때 관상을 잘 보는 자가 있었는데 그에게 말하기를,
"그대 얼굴에 자줏빛이 떠 있으니, 뒤에 반드시 귀하여 천종록_千鍾祿을 누릴 것이다. 마땅히 좋은 대가를 기다려 팔라."
라고 하였다. 진후주_陣候主 때에 양가_良家의 아들로서 주객 원외랑_主客員外郞을 받았는데, 위에서 그 기국을 보고 남달리 여겨 장차 크게 쓸 뜻이 있어, 금구로 덮어 빼고 당장에 벼슬을 올려 광록 대부 예빈경_光祿大夫禮賓卿으로 삼고, 작_爵을 올려 공_公으로 하였다. 대개 군신_君臣의 회의에는 반드시 순_醇을 시켜 짐작_斟酌하게 하나, 그 진퇴_進退와 수작이 조용히 뜻에 맞는지라, 위에서 깊이 받아들이고 이르기를,
"경_卿이야말로 이른바 곧음_直 그것이고, 오직 맑구나. 내 마음을 열어 주고 내 마음을 질펀하게 하는 자로다."
라 하였다. 순_醇이 권세를 얻고 일을 맡게 되자, 어진 이와 사귀고 손님을 접함이며, 늙은이를 봉양하여 술·고기를 줌이며, 귀신에게 고사하고 종묘_宗廟에 제사함을 모두 순_醇이 주장하였다. 위에서 일찍 밤에 잔치할 때도 오직 그와 궁인_宮人만이 모실 수 있었고, 아무리 근신_近臣이라도 참예하지 못하였다. 이로부터 위에서 곤드레만드레 취하여 정사를 폐하고 24, 순은 이에 제 입을 재갈 물려 말을 하지 못하므로 예법_禮法의 선비들은 그를 미워함이 원수 같았으나, 위에서 매양 그를 보호하였다. 순은 또 돈을 거둬들여 재산 모으기를 좋아하니, 시론_時論이 그를 더럽다 하였다.
위에서 묻기를,
"경_卿은 무슨 버릇이 있느냐."
하니, 대답하기를,
"옛날에 두예_杜預는 좌전_左傳의 벽_癖이 있었고, 왕제_王濟는 말_馬의 벽이 있었고, 신_臣은 돈 벽이 있나이다."
하니, 위에서 크게 웃고 권고_眷顧가 더욱 깊었다. 일찍이 임금님 앞에 주대_奏對할 때, 순이 본래 입에 냄새가 있으므로 위에서 싫어하여 말하기를,
"경이 나이 늙어 기운이 말라 나의 씀을 감당치 못하는가."
라 하였다. 순이 드디어 관_冠을 벗고 사죄하기를,
"신이 작_爵을 받고 사양하지 않으면 마침내 망신_亡身할 염려가 있사오니, 제발 신_臣을 사제_私第에 돌려주시면, 신_臣은 족히 그 분수를 알겠나이다."
라고 하였다. 위에서 좌우_左右에게 명하여 부축하여 나왔더니, 집에 돌아와 갑자기 병들어 하루 저녁에 죽었다. 아들은 없고, 족제_族弟 청_淸 25이, 뒤에 당_唐나라에 벼슬하여 벼슬이 내공봉_內供奉에 이르렀고, 자손이 다시 중국에 번성하였다. 사신_史臣이 말하기를,
"국씨_麴氏의 조상이 백성에게 공_功이 있었고, 청백_淸白을 자손에게 끼쳐 창_鬯 26이 주_周나라에 있는 것과 같아 향기로운 덕_德이 하느님에까지 이르렀으니, 가히 제 할아버지_祖의 풍이 있다 하겠다. 순_醇이 들병 27의 지혜로 독 들창_甕爽 28에서 일어나서, 일찍 금구_金毆 29의 뽑힘을 만나 술단지와 도마에 서서 담론하면서도 가_可를 들이고 부_否를 마다하지 아니하고, 왕실_王室이 미란_迷亂 30하여 엎어져도 붙들지 못하여 마침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거원_巨源 31의 말이 족히 믿을 것이 있도다."라고 하였다.
"어떤 늙은 할미가 요런 갸륵한 아이를 낳았는고. 그러나 천하의 창생_蒼生을 그르칠 자는 이 놈일 것이다."
라 하였다. 공부_公府에서 불러 청주 종사_靑州從事를 삼았으나, 격_鬲의 위가 마땅한 벼슬자리가 아니므로, 고쳐 평원 독우_平原督郵를 시켰다. 얼마 뒤에 탄식하기를,
"내가 쌀 닷 말 때문에 허리를 굽혀 향리_鄕里 소아_小兒에게 향하지 않으리니, 마땅히 술 단지와 도마 사이에서 서서 담론할 뿐이로다."
라고 하였다. 그 때 관상을 잘 보는 자가 있었는데 그에게 말하기를,
"그대 얼굴에 자줏빛이 떠 있으니, 뒤에 반드시 귀하여 천종록_千鍾祿을 누릴 것이다. 마땅히 좋은 대가를 기다려 팔라."
라고 하였다. 진후주_陣候主 때에 양가_良家의 아들로서 주객 원외랑_主客員外郞을 받았는데, 위에서 그 기국을 보고 남달리 여겨 장차 크게 쓸 뜻이 있어, 금구로 덮어 빼고 당장에 벼슬을 올려 광록 대부 예빈경_光祿大夫禮賓卿으로 삼고, 작_爵을 올려 공_公으로 하였다. 대개 군신_君臣의 회의에는 반드시 순_醇을 시켜 짐작_斟酌하게 하나, 그 진퇴_進退와 수작이 조용히 뜻에 맞는지라, 위에서 깊이 받아들이고 이르기를,
"경_卿이야말로 이른바 곧음_直 그것이고, 오직 맑구나. 내 마음을 열어 주고 내 마음을 질펀하게 하는 자로다."
라 하였다. 순_醇이 권세를 얻고 일을 맡게 되자, 어진 이와 사귀고 손님을 접함이며, 늙은이를 봉양하여 술·고기를 줌이며, 귀신에게 고사하고 종묘_宗廟에 제사함을 모두 순_醇이 주장하였다. 위에서 일찍 밤에 잔치할 때도 오직 그와 궁인_宮人만이 모실 수 있었고, 아무리 근신_近臣이라도 참예하지 못하였다. 이로부터 위에서 곤드레만드레 취하여 정사를 폐하고 24, 순은 이에 제 입을 재갈 물려 말을 하지 못하므로 예법_禮法의 선비들은 그를 미워함이 원수 같았으나, 위에서 매양 그를 보호하였다. 순은 또 돈을 거둬들여 재산 모으기를 좋아하니, 시론_時論이 그를 더럽다 하였다.
위에서 묻기를,
"경_卿은 무슨 버릇이 있느냐."
하니, 대답하기를,
"옛날에 두예_杜預는 좌전_左傳의 벽_癖이 있었고, 왕제_王濟는 말_馬의 벽이 있었고, 신_臣은 돈 벽이 있나이다."
하니, 위에서 크게 웃고 권고_眷顧가 더욱 깊었다. 일찍이 임금님 앞에 주대_奏對할 때, 순이 본래 입에 냄새가 있으므로 위에서 싫어하여 말하기를,
"경이 나이 늙어 기운이 말라 나의 씀을 감당치 못하는가."
라 하였다. 순이 드디어 관_冠을 벗고 사죄하기를,
"신이 작_爵을 받고 사양하지 않으면 마침내 망신_亡身할 염려가 있사오니, 제발 신_臣을 사제_私第에 돌려주시면, 신_臣은 족히 그 분수를 알겠나이다."
라고 하였다. 위에서 좌우_左右에게 명하여 부축하여 나왔더니, 집에 돌아와 갑자기 병들어 하루 저녁에 죽었다. 아들은 없고, 족제_族弟 청_淸 25이, 뒤에 당_唐나라에 벼슬하여 벼슬이 내공봉_內供奉에 이르렀고, 자손이 다시 중국에 번성하였다. 사신_史臣이 말하기를,
"국씨_麴氏의 조상이 백성에게 공_功이 있었고, 청백_淸白을 자손에게 끼쳐 창_鬯 26이 주_周나라에 있는 것과 같아 향기로운 덕_德이 하느님에까지 이르렀으니, 가히 제 할아버지_祖의 풍이 있다 하겠다. 순_醇이 들병 27의 지혜로 독 들창_甕爽 28에서 일어나서, 일찍 금구_金毆 29의 뽑힘을 만나 술단지와 도마에 서서 담론하면서도 가_可를 들이고 부_否를 마다하지 아니하고, 왕실_王室이 미란_迷亂 30하여 엎어져도 붙들지 못하여 마침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거원_巨源 31의 말이 족히 믿을 것이 있도다."라고 하였다.
- 흐뭇함, 거나함 [본문으로]
- 지금의 감숙성 [본문으로]
- 보리 [본문으로]
- 주나라 때 농사를 맡은 벼슬 [본문으로]
- 시경詩經 주송周頌 청묘지십淸廟之什 제10편 사문思文 1장 [본문으로]
- 절구질로 보리의 겉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묘사한 것 같습니다. [본문으로]
- 자기의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 [본문으로]
- 보리로 고두밥을 짓는 과정. 보리로 술을 만들기 위한 전단계인 당화과정이지요. [본문으로]
- 교양이 있고, 도량이 크며 얌전함 [본문으로]
- 공이 있는 집에 나라에서 세워 주는 문 [본문으로]
- 천자가 동지에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 [본문으로]
- 실봉과 식읍. 실봉은 봉읍에서 바치는 조세를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식봉 [본문으로]
- 신분에 허물이 있어 벼슬에 쓰지 않음. [본문으로]
- 전국술, 군물을 타지 아니한 진국의 술 또는 세 번 빚은 술. [본문으로]
- '태평광기'에 나오는 인물로 술을 먹으면 정신이 아득해져서 '천천히'란 뜻으로 '막'을 이름으로 함. [본문으로]
- 만나기만 하면 술자리. [본문으로]
- 정신이 아득해져 늘 술에 취해 있 [본문으로]
- 잘못된 점을 따져 물음 [본문으로]
- 사람됨의 그릇 크기 [본문으로]
- [/footnote]에게 나아가 온종일 담론할 때, 일좌_一座가 모두 절도_絶倒[footnote]'대단히 감탄함'이라고 해석한 곳이 많은데, '기절하여 넘어짐' 즉 술을 먹고 취하여 다들 뻗었다는 얘기가 더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본문으로]
- 신선의 술법을 닦는 사람 [본문으로]
- 처량하고 구슬픈 모양 [본문으로]
- 잔치에 술이 빠지면 흥이 나지 않아 처량하고 구슬퍼지지요. [본문으로]
- 임금이 술에 절어 정사를 살피지 않 [본문으로]
- 청주(淸酒) [본문으로]
- 울창주(鬱鬯酒) , 자주(紫酒) . 찰기장과 향초를 섞어 향기가 나도록 만든 술로 제사의 강신降神에 쓴다 [본문으로]
- 술동이 [본문으로]
- 항아리 뚜껑 [본문으로]
- 금 또는 쇠로 만든 사발이나 단지. [본문으로]
- 정신이 흐러멍덩하여 어지러움 [본문으로]
- 중국 진나라의 높은 선비로 죽림 칠현의 한 사람인 산도(山禱)의 자(子). 공정한 성풍에 덧붙여 인물을 보는 감식안이 있어 그가 골라 뽑은 인물은 모두 한 시대에서 빼어난 선비였다고 한다. [본문으로]